20121011

일반적이란 무엇인가

기계비평에 살짝이라도 얽힌 이야기를 세 번째 하게 되는데(-_-) 사실 북스윙(링크)이라는 앱을 사용하면서 테스트해본다고 이것 저것 사진도 찍은 게 있고, 다시 보다 보니 생각도 나고 그래서 이렇게 되었다.

2012-10-11 18.57.01

이런 이야기가 있다. 본 적이 없다는 게 두 가지가 나온다. 전자는 기술적인 부분(보조 터빈, 윙릿) / 후자는 저게 뭘까 궁금해 하는 사람이다.

둘 다 '-없다' 와 '한 번도 보지 못했다'라는 단정적인 어구로 끝난다. 물론 이는 일종의 과장법으로 일단 이 글의 저자가 아마도 궁금해 했으니 자신이 예외가 된다. 크레타 출신 아저씨가 모든 크레타 인은 거짓말 장이야~ 뭐 이랬다는 이야기가 문득 생각나는데.

 

여튼 이 구절은 나로서는 쓸 수 없다. 예외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본인도 예외겠지만 저런 단정적인 어투를 쓰는 게 좀 이상하기는 한데 글 쓰는 습관의 문제라 그럴 수도 있다고는 생각한다.

전자의 경우 내 사촌은 신월동에 살면서 어려서부터 김포공항을 오르 내리는 비행기를 끝없이 쳐다보며 프라모델을 만들고 관련 서적을 읽으면서 자라나 결국 인하대를 거쳐 지금 대한항공에서 에어버스라는 비행기를 몰고 있다.

후자의 경우 비행기 데이터를 좋아하는 내 친구 하나 덕분에 가끔 인천 공항 활주로가 내려다 보이는 곳을 따라가, 인천공항 앱을 켜 놓은 채 내리고 뜨는 비행기가 뭐고, 어디로 가는지 이런 걸 체크하면서 한참 쳐다보고는 한다. 나야 뭐 농담이나 하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진지한 설명을 듣기도 한다. 올해 초에도 그러고 나서 영종도에서 밥 먹고 돌아왔었다. 거기가 나름 괜찮은 자리인지 비슷한 행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가끔 있다.

 

사실 일반적이라는 말은 무척 모호하다. 일반이라는 이름을 달고 예외들을 다 쳐내면 뭔가 덩어리가 남을 거 같은 느낌이 있기는 한데 요즘은 그 크기가 워낙 비슷해져 가고 있어서 쳐내고 나면 뭐가 남기는 하는 건가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세상 모든 게 예외이니.. 뭐 이런 식도 곤란하긴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