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919

은하수

힐링캠프를 보는데 이경규가 서호주에 갔을 때 처음으로 은하수를 봤다는 이야기를 했다. 아마도 남격에서 갔을 때 봤나보다. 사실 좀 이상한 이야기인데 아마도 젊을 적에는 바쁘게 사느라 못 본 거겠지. 어렸을 때 서울 살았지만 은하수를 자주 봤다. 별 보는 거 좋아해서 그 달의 별자리 지도가 그려져있는 과학동아를 들고 옥상가서 매번 하늘을 봤었다. 은하수라는 건 누가 설명하지 않아도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아무리 봐도 질리지가 않는다. 마찬가지로 질리지 않는 파도와 약간 다르다. 둘 다 무력감을 느끼게 할 만큼 멋지다는 건 같다.

여하튼 별의 강이라는 게 전혀 빈말이 아니다. 서호주만큼 선명하진 않았겠지만 그래도 잠실 옥상에서도 충분히 정말 장관이다라고 느낄 수 있을만큼 보였다. 여름 방학 때 장판들고 옥상에 올라가 멍하니 쳐다보다 잠들었었지. 지금은 아무리 시골에 가도 그때처럼 압도적인 모습은 볼 수 없다.

그때 말고 인상적이었던 건 대학 때 서해의 섬에 갔을 때. 별똥별은 그때 처음 봤는데 정말 밤새 계속 떨어졌다. 하늘에서 돌덩이가 저리도 많이 떨어지나 생각했었다. 그 바다는 인이 많다나 어쨌대나 해서 밤 중에 바다물을 손으로 훑으면 형광 물질이 떠올랐다. 그건 신기하긴 했지만 예쁘다기 보다는 약간 기괴했다. 그때를 기점으로 바다에 대해 저 안에 뭐가 있을까 하는 종류의 약간의 공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걸 같이 봤던 친구 중 하나는 바다에 반해 다이빙을 취미로 삼게 되었다. 나도 기본적으로는 그 시커멓게 넘실거리는 거대한 물덩어리를 좋아한다.

최근 들어서는 가지산 자연 휴양림. 밤에 휴양림에 도착했는데 정말 별이 쏟아질 듯 흩뿌려져 있었다. 은하수를 느낄 정도는 아니었지만 쏟아지는 기분은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그거 매우 좋아한다. 또 하나는 승부역. 낮에 내리던 눈이 그치고 사방에 무릎 깊이만큼 가득 쌓여있는 밤이었는데 그새 구름이 싹 사라져 있었다. 달에 비쳐 하얗게 빛나는 눈과 산 위로 비치는 별들, 그리고 가끔 지나가는 기차. 이렇게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 다 모여 있었다. 정말 죽고 싶은 날이었는데 그것들이 너무 좋아 넋놓고 바라보다가 살아 돌아왔다. 덕분에 이 고생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