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413

20120413 선거 하나 더

1. 뭘 쓰고 있었는데 Windows Live 필수 Update를 설치한다길래 Yes를 눌렀더니 쓰고 있던 거를 몽창 지워버렸다. 닫겠다는 경고도 없고, 임시 저장도 안 해놓고. 여튼 윈도우즈의 가장 취약하고 그지같은 부분은 XP 시절부터 업데이트. 그야말로 제멋대로. 죽기 전까지 득달같이 달려들기만 하는 바퀴벌레나 파리랑 똑같다.

2. 이번 총선 선거 방송의 승리자는 SBS인게 사실이지만(나머지 두 방송국이 파업 중이었으니 정말 본방 대결은 대선 때 찾아오겠지만) 이건 MBC 선거 방송에서 본 내용. MBC 선거 방송에서 날짜별/이슈별 지지율 추이 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보여줬다. 찾기는 싫으니까 그냥 두가지 큰 사건(사찰 파문과 김용민 논란)에 관련해서 보면.

두 사건 모두에서 같은 현상이 나타났는데 사찰 파문이 있자 새누리당 지지율이 높아졌고, 김용민 논란이 일자 민통당 지지율이 올라갔다. 즉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 불리한 사건이 일어나자 결집하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뜻이다.

어쨋든 새누리당을 찍는 사람이 20%, 어쨋든 민통당을 찍는 사람이 20% 정도로 가정해보자. 그리고 무조건은 아니지만 거의 확실한 잠재적인 지지층이 10%씩 있다고 치자. 이들은 투표 참가율이 높긴 하겠지만 이길거라고 생각되면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나머지 기타는 일단 제외하고 생각하면 부동층이 60% 정도 있는 게 된다. 부동층은 말 그대로 부동층으로, 옅은 지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약간은 있겠지만 그때 그때 공약이나 이미지에 따라 어디에 투표할 지 선택하게 된다. 이 선택에는 물론 선거를 안 하겠다는 결정도 포함된다. 심각하거나, 관심을 끌 만한 이슈가 발생한다면 이들이 투표장으로 갈 확률이 더 높아질 것이다.

잠재적인 지지층은 부동층은 아니지만 선거 추이의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사안에 따라 투표를 할지 말지가 결정된다. 즉 위에 선거 방송의 예에서 이슈에 따라 지지층이 움직인 것은 이들의 결집 여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대방의 스캔들을 캐치하고, 그것을 선거전의 이슈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이 마이너스를 고려해야 한다. 즉 민통당이 사찰 파문을 이슈로 만들어 선거에 유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대층 결집으로 인한 마이너스를 고려하고, 그걸 넘어서는 만큼을 부동층에서 가져와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손해만 본다.

부동층은 아무래도 정치에 관심이 덜 한 사람들이 많을 테니 이해하기 쉬운 스캔들을, 선거전 말미에 발생시키는 게 유리하다. 상대가 대응 플랜을 만들어내기 전에 투표가 끝나야한다. 플랜이 만들어지고 나면 그게 시민들에게 그렇게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우엔('사안의 심각성'과 '사안이 심각하게 받아들여지는가'는 다른 문제다)

정몽준의 대통령 직 후보 사태가 잠재적 정당 지지자의 결집과 부동층의 투표 결심을 가지고 온 대표적인 경우인데 이건 예측하기 어렵고 조절하기 어려운 사건이라는 점이 약간 다르다.

역시 선거라는 건 하루에 승부를 보는 이벤트라 재미있는 구석이 많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