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129

Holy Motors를 보다

레오 까라의 2012년작 홀리 모터스를 봤다. 재미있냐 하면 그 정도는 아니지만 나쁘진 않았다. 특히 영화 내내 톤이 그다지 흔들리지 않는 미묘한 심심함은 무척 마음에 들었다.

1. 여러가지 면에서 이 영화는 이런 걸 꽤나 많이 보던 (나의) 90년대가 떠오른다. 레오 까라는 그 즈음을 다시 뒤적거리는 거 같다.

사실 이런 류의 자아 뒤흔들기는 이미 너무 많이 나왔다. 그렇지만 사는 데는 호연지기를 가지고 미래를 내다 볼 것인지, 독 짓는 늙은이가 되어 한 곳만 파고 들어갈 것인지, 아니면 정신이 점프하는 곳에 몸을 맞길지 등등 각자 여러가지 방식이 있는 법이다.

2. 또 생각나는 건 러브 익스포져. 보면서 처음엔 대체 이거 어쩔 생각이야... 하다가 파티에 다녀온 딸과 만나는 장면에서 문득 기억이 떠올랐다. 왜 그랬지 생각해 보면 아무래도 딸이 연기를 좀 못해서 그랬던 게 아닌가 싶다. 평탄해 보이던 화면에 균열이 있었고, 뭔가 어설픈데 하는 생각이 들면서 아차 그거였나 싶게 되었다.

물론 이 영화 역시 이후 러브 익스포져 만큼이나 먼 데에 있는 강을 건넌다.

3. 오스카와 에바가 만나는 장면이 연기인지 실제인지 잘 모르겠다. 복선이 깔리긴 했지만 확신이 서진 않는다.

영화를 보면서는 그게 많이 궁금했는데 이 영화가 닫히는 삼 단계(드니-운전사-리무진)를 보면서 세상 천지에 그런게 다 무슨 소용이람 하는 생각에 이르렀다.

4. 그건 그렇고 카일리 미노그 노래 좀 이상하던데. 저렇게 성량이 가늘었었나. 그리고 침팬지는 마음에 들었지만, 롤링 스톤즈 개더스 노 모스는 별로였다.

5. 이걸 쓰면서 문득 든 생각이 : 이 영화를 아직 못 본 사람이 지금 써놓은 이야기를 자세히 탐독한다면 과연 영화의 얼마 만큼을 예상할 수 있을까. 그런 분이 혹시 계시다면 댓글을 부탁드려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독, 내부, 호우

1. 인간은 지상에서 살도록 진화한 동물이라 수영처럼 물에서 하는 활동을 하려고 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긴다. 물론 조상을 따라 올라가면 해파리나 다랑어, 수생 플랑크톤 같은 생물과 겹치는 부분이 나오겠지만 이런 스쳐지나간 유전자를 현생에 끌어 올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