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129

조금 긴 잡담

1. 흡연을 대폭 줄이고, 혹시 집에서 빌빌대는
날이어도 산책이라도 꼭 해야겠다. 요새 몸뚱이가 정말 말이 아닌 듯. 하루에 한 끼만 먹어도 배가 안 고프고, 그마저 먹으면 복통이 온다.

2. 개인적으로 관상 같은 건 거의 관심이 없다. 표정이나 행동으로 뭔가 짐작하는 일도 의도적으로 하지 않는 편이다.

예전에 말한 적 있긴 한데 예상 적중의 득보다 오해의 실이 더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흔히 촉을 말하는 데 사실 그게 틀렸을 경우 수습할 길은 뻔뻔함이나 모른 척 밖에 없다. 그런 뻔뻔함은 없고 연마하고 싶은 생각도 없으니 그런 건 안하는 길을 갈 뿐.

여튼 계기가 몇 있는데 그 중 하나 군대 이야기. 후임병 중에 정말 굉장할 정도로 표정의 진실함이란 없고 말을 하면서 계속 산만하게 딴청을 피우고, 코를 만지고, 눈을 굴리는 놈이 있었다.

당시 무슨 일인가 있고 내가 그의 하루 행적을 다 아는 상황에서(그에겐 아무 잘못도 없었다) 그가 간부의 의심을 산 적이 있다. 추궁당하는 모습과 자신의 진실을 변호하는 모습을 옆에서 보면서도 저걸 대체 누가 믿겠냐... 싶을 정도여서 너도 참 어쩌냐 그랬었다.

묘한 건 다 알고 있음에도 그의 표정과 행동을 보면 내가 본 게 뻥 아니었을까, 과연 내가 놓친게 있지 않았을까 나 자신을 의심하게 되었다는 거다. 여튼 뭐 다행히 잘 해결되었지만 인간의 편견이란 고작 이 정도인가 등등의 생각을.

뭐 그 분야 전문가라면 또 모르겠는데 난 그쪽을 연구하고 싶은 생각은 아직 없으니.

3. 2의 이유중 하나는 억울함이 너무 싫기 때문이기도 하다. 정말 싫어해서 가능하다면 사소한 거라도 억울한 일 없이 살고 싶은데 역시 잘 안된다. 예상 적중의 기쁨을 못주기 때문에 점점 인기도 없어지는 거 같고 ㅜㅜ 하지만 억울함 해소라면 발벗고 나서요.

3. 여튼 그런 이유로 이ㄱㅎ 회장의 관상을 볼 시간에 대차대조표와 현금흐름표를 보는 걸 더 선호하게 되었다. 물론 삼전 같은 곳은 너무 복잡해서 나같은 사람은 봐봐야 별 소용이 없긴 하지만.

4. 하지만 통계는 별로 신용하지 않는다. 왜 그럴까나. 여기서 시작해 대표민주제 같은 것도 별로 신통한 대안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5. 일본의 동물인가 하는 자연 다큐멘터리를 봤는데 숲이 있고, 앞에는 잔디밭같은 초원이 넓게 펼쳐져 있고 거기에 여우나 사슴같은 게 있는 장면이 나왔다. 동물 빼고 나무와 풀의 배치만 가지고도 살면서 그런 풍경을 실제로 본 적이 없는 거 같다. 약간 슬퍼졌다. 일본 알프스나 개마고원은 꼭 한 번 가보고 싶다.

6. 상상력의 부족은 죄가 아니다. 하지만 자신이 아는 범위 내에서 단언하고 남을 속단하거나 강요하는 건 약간 다르다. 난쏘공에서 위기가 다가옴을 느끼자 주소 팻말을 제일 먼저 챙기는 건 상상력 같은 게 만들어 내지 못한다. 리얼이즘이니 하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다. 또한 문학이나 영화 같은 게 아니라 발등에 떨어진 현실의 불 같은 문제라면 양상은 더 달라진다.

7. 2ne1의 2012 라이브 디비디를 구해 인코딩해놨다. 청담동에 한 번 갈까 하는데 별로 하릴없는 계획이라 그런지 발길이 떨어지질 않는다. 하지만 1에서 말했듯 운동 삼아서라도 가야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독, 내부, 호우

1. 인간은 지상에서 살도록 진화한 동물이라 수영처럼 물에서 하는 활동을 하려고 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긴다. 물론 조상을 따라 올라가면 해파리나 다랑어, 수생 플랑크톤 같은 생물과 겹치는 부분이 나오겠지만 이런 스쳐지나간 유전자를 현생에 끌어 올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