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129

뭐랄까

1. 역시 이런 블로그에 제목은 불필요하다.

2. 포켓플레인을 다시 하고 있다. 이 게임은 촌각을 다투지 않고, 사람을 열심히 나르기만 하면 된다. 물론 아틀란타 공항에 5명을 태울 수 있는 피어젯이 착륙했다면 뉴욕 가는 사람보다는 델리에 가는 사람이 우선이다. 장거리 노선이 이익이 보다 확실하다.

2013-01-26 03.50.55

처음에 할 때는 단거리 노선을 다니는 항공사와 장거리 노선을 다니는 항공사를 분리해서 운영하려고 했는데 이 게임을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그렇게 하기엔 너무너무너무 귀찮다. 그러므로 단거리는 걸어가.

이 게임은 원래 제작사에서 기차로 만들려고 했는데 대륙간 횡단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비행기로 바뀌었다. 그때 이름은 (가제) 포켓 트레인이었다. 다리를 놓는 게 옵션으로 들어가 있으면 그럭저럭 대륙 횡단에 버금가는 자질구레함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그러므로 기차를 내 놓아라.

3. 강아지는 일단 추우니 이불 속으로 들어간다 - 하지만 덥다(강아지는 체온이 높고 땀구멍이 없어서 더위에 약하다) - 그러므로 다시 나온다 - 하지만 춥다 - 다시 들어간다를 종일 반복한다.

2013-01-25 01.13.59 

적절한 온도를 제공해 주지 못해 안타깝구나. 하지만 나도 마찬가지 의식을 치루고 있단다.

4. 오래간 만에 스타벅스를 갔는데 커피를 가득 채워줬다.

2013-01-26 13.40.15 

내 얼굴에 카페인 부족이라고 써 있었나. 매번 에스프레소 도피오를 마시고 싶은데 이 양적 만족감에 굴복하고 만다. 지금 시점에서는 일단은 많은 게 좋다. 가능하다면 혈관에 꽂고 싶다. 내 소원은 뇌는 전뇌, 피는 커피.

이야기를 들어보니 조선호텔 후문 쪽에 스타벅스가 또 하나 생겨서 명동에 스타벅스가 12개가 되었다고 한다. 11개를 다 들르면 한 잔 더 주는 던전 앤 드래곤 타입의 퀘스트가 진행 중이라는 거 같다.

5. 운영하고 있는 패션 블로그에 좀 복잡한 이야기를 올리면 역시 품이 많이 들어가고, 시간도 많이 들고, 실패의 위험도 높다. 하지만 쓰는 입장에서는 역시 재미있다. 패션계 상식 같은 건 그보다 품은 덜 들고 실패의 위험은 낮아진다. 소식 같은 건 맘만 잡으면 하루에 몇 개씩 올릴 수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포스팅의 인기는 소식이 압도적으로 높고 상식이 그 다음이다. 조금 복잡한 이야기는 전혀 인기없다. 이 계통은 어디나 만들고 싶은 옷을 만들기 위해 가방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돌아가는 건가 싶다.

여전히 유입 검색어 인기 1위는 핫팬츠다. 참고로 이곳 블로그 올타임 검색어 1위는 g20 국가들이다. 왜 그런가 하고 검색을 좀 해봤는데 어디선가 자꾸 숙제로 나오니까 그런 거 같다. 그다지 유용한 이야기가 없어서 미안. 다음부터는 위키피디아를 찾아가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독, 내부, 호우

1. 인간은 지상에서 살도록 진화한 동물이라 수영처럼 물에서 하는 활동을 하려고 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긴다. 물론 조상을 따라 올라가면 해파리나 다랑어, 수생 플랑크톤 같은 생물과 겹치는 부분이 나오겠지만 이런 스쳐지나간 유전자를 현생에 끌어 올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