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29

툴스

1. 툴에 대한 고민은 물론 불편함에서 온다. 이걸 어떻게 좀 더 편하게 할 수 없을까, 그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가장 나은 상태를 만들 수 없을까. 물론 이건 개인적인 성향도 있는 거 같다. 예컨대 원고지와 펜만 가지고 뭔가 쓰던 시절이어도 나 같은 부류의 사람은 어떤 원고지를 쓸 것인가... 어떤 펜을 쓸 것인가... 계획은 어디에 어떻게 작성할 거고 그걸 어떻게 해야 가능한 편하게 원고지에 집어 넣을 건가... 따위를 가지고 고민했을 가능성이 높을 거 같긴 한데...

즉 GTD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문제인데 GTD를 사용하는 이유는 "집에 가는 길에 종이컵을 사야해"... 이거 잊어버리면 안돼...가 머리 속에 자꾸 잡음을 만들어 내는 건 방지하기 위해서다. 뭐든 할 일이 생각나면 다 GTD에 넣어 버린다...만 체화하면 그 다음부터는 문제가 한결 줄어들고 머리 속에서 "종이컵"을 덜어낼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하는 이유는 지금 하고 있는 일 더 잘 하라고 그러는 거다.

뭐 쓸데없는 이야기고 - 문제가 몇 가지 있는 데 집에서는 윈도우 8.1, 밖에서는 크롬북을 쓴다...가 모든 문제의 시작이다. 이 둘을 공통으로 연결시켜 주는 툴이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에 구글 드라이브가 가장 유용해서 많이 쓴다.

1) 이게 문제가 되는 경우는 가끔 docx 파일이 날아온다 -> 크롬북에서는 로드를 하고 편집이 가능한데 이 편집이 오류가 좀 있다 + 좀 제대로 편집하려면 구글 드라이브 폼으로 바꿔야 하는데 그러면 doc->구글->doc라는 여러 변천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서 생긴 모습이 다르다. 폰트는 다 다르고, 어디서는 각주가 안 보이고, 메모로 넣어둔 글자의 컬러도 다 다르다.

그리고 문서가 커지면 구글 드라이브는 점점 더 못 믿을 도구가 된다. 뭔가 로드하는 데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아래 부분이 로딩 중인지 모르고 위에서 뭔가 고치면 이게 꼬이기 시작한다.

2) 집에서도 오피스가 없으니 여러 방법을 강구해 봤는데 일단 오픈 소스 계열, 오픈 오피스나 리브레 오피스나 다 docx와는 사이가 좋지 않고 한글에도 문제가 좀 있다. 일단 무료판으로 오피스 365를 써보고 있다.

3) 집에 오피스가 설치되고 났더니 이번에는 크롬북이 문제가 된다...

아 몰라, 뭐 하나 제대로 되는 게 없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