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01

비용, 건설적인 대화

1. 계몽에는 비용이 든다. 학습에도 비용이 든다. 예컨대 누군가 헛소리를 하는 건 그 비용을 쓰지 않았기 때문이거나, 비용을 썼지만 그걸로 알아낸 게 여전히 없거나 둘 중 하나다. 헛소리를 하는 사람을 설득하는 건 예전부터 말했지만 하나마나한 일이다. 그런 일을 하라고 교육 기관들이 있고 책이 있으니 정녕 뜻이 있으면 거길 찾아가면 된다.

여튼 최근 화제가 된 캐롤 비평에 대한 일 - 유니버설 인류애 - 도 마찬가지고, 방송의 엠씨 - 장동민과 전현무 등등 - 도 마찬가지인데 그 사람을 타박하는 건 모두에게 너무 비싼 행위이다. 자신의 자본을 아끼는 게 낫다. 예컨대 그들의 말을 싣는 잡지나 사이트를 그만 보고, 그들이 나오는 방송을 그만 보는 게 시간도 아끼고 더 효율적이다. 굳이 잠깐 웃겠다고 헛소리를 찾아볼 필요는 없다.

2. 히잡의 이용자가 "건설적인 대화"의 가능성을 이야기했다(링크). 대체 이 분이 말하는 "건설"이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굳이 중세 마인드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근대와 현대의 인류 발전을 져버릴 필요도 이유도 없다. 마찬가지로 카스트 제도 옹호론, 노예제 옹호론, 야쿠자 스타일의 유교 마인드 등도 결코 보존의 대상이 될 전통 문화가 아니다. 오래 내려왔고 습성이 되어 있으니 보존해야 한다는 착각이 세상을 계속 망친다. 그리고 어차피 히잡 같은 마인드를 벗어나는 건 백 년이 걸리든 천 년이 걸리든 그들의 책무다. 그걸 계속 놀리고 비웃는 건 우리의 할 일이다. 히잡이 패션 아이템이 되어서 좋은 점이 있다면 그것들이 그런 식으로 물상화되면서 대상화의 의미를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뭐 그런 건 중간 단계의 일일 뿐이지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