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05

지루함

메르스 뉴스는 이제 대충만 봐야겠다. 흘러가는 걸 보고 있자니 좀 지친다... 그러므로 개인 위생이나 좀 신경 쓰면서... 사실 오산의 탄저균 쪽에 훨씬 관심이 있었는데 이건 뭐 평택의 메르스가 워낙에 난리가 난 바람에. 여러가지 의견들을 보고 들었지만 어쨌든 지금은 메르스 당사국이고 대형 전염을 처리해 본 경험이 있는 사우디 보건 차관의 말(링크)이 가장 기본적으로 믿을 만 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 이후로는 상황이 크게 바뀌지 않는 한 이 말들을 기본으로 판단하고 행동하고 하면 될 듯 싶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뉴스들이 좀 있었는데... 아이유 재계약은 놀랍진 않았지만 계약금이 없었다는 건 약간 놀랐다. 뭐 굳이 시끄럽지 않게 하려고 했던 거 같고 뭔가 더 있었겠지만... 로엔에서 몇 개월 전부터 아이유 재계약 TF도 꾸렸었다는 소문도 있었는데 설마하니.

ㅅㅋㄹ은 정말 웃기는 사건이 났는데... 그룹 내의 개인적인 관계 뭐 이런 데는 전혀 관심이 없지만 ㅎㅅㅎ가 과연 어떤 지향점을 가지고 지금 이 상황에서 돌을 던졌는지는 역시 궁금하다.

메르스 하니까 또 생각나는데 영화 컨테이젼에서 CDC의 높은 분(로런스 피시번)이 격리 조치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시민들 사이에 혼란이 일어날까봐 정치인들이 걱정하자 혼란보다 사망자를 줄이는 게 더 낫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영화 속의 병은 전염의 속도가 매우 빠르고 치사율도 매우 높다는 게 지금 현실과 다른 점이다.

즉 어느 수준에서 어느 판단을 해야 하는 가가 실무자와 정치의 몫이고 그 수준은 약간 다를 수 밖에 없다. 순전히 방역의 측면에서(정치의 측면에서는 다른 수들이 많이 들어가 있으니까) 서울 시장이 발빠른 선제 조치를 약속한 건 옳다고 생각하지만 굳이 의사와 1500명의 이야기를 한 게 옳은 건지는 판단이 잘 서지는 않는데, 일단 저 위에 사우디 보건 차관의 말에 빗대어 보자면 방식이 아주 틀리진 않다고 생각된다.

정치적 측면에서 방역을 다루는 딜레마는 요란스러운 선제 조치로 방역에 성공하면, 아무 일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 성공의 가치를 알 수가 없게 된다는 점이다. 실패하면 이 전염병은 원래 이렇게 무서운 것이여... 하면 된다. 사실 몇 명이 죽어도 결론적으로 잘 막아냈다...고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거니까. 여튼 예전 사스 때 공항부터 열감지니 뭐니 난리를 치고 해서 인권 문제도 나오고 했었던 기억이 난다.

어쨌든 뭐 이런 이야기는 됐고... 컨테이전을 보고 나서 마리옹 코티야르가 좀 좋아졌다. 인셉션에서는 그냥 그랬던 거 같은데...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독, 내부, 호우

1. 인간은 지상에서 살도록 진화한 동물이라 수영처럼 물에서 하는 활동을 하려고 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긴다. 물론 조상을 따라 올라가면 해파리나 다랑어, 수생 플랑크톤 같은 생물과 겹치는 부분이 나오겠지만 이런 스쳐지나간 유전자를 현생에 끌어 올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