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09

통계와 여론

보통의 경우 행정인은 통계에 신경을 쓰기 마련이고 정치인은 여론에 신경을 쓰기 마련이다. 행정인은 자신이 무슨 일을 했는지, 무슨 일을 할 건 지를 보여주고 예산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 어떤 상황인지를 제시하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정치인의 생사를 결정하는 건 투표기 때문에 여론이 중요하다. 약간 극단적인 예를 들어 보자면 뭔가 일처리를 엄청나게 못했는데 인기가 올라간다면 일처리를 잘 할 이유가 없다.

물론 여기서 자기가 지지하는 정치인이 잘 됐으면 하는 마음에 현 상황의 위기를 축소하거나 아무 이야기나 입에서 나오는 데로 떠들거나 하는 경우는 별론이다. 결정권자의 권한이 클 수록 이런 일이 많이 일어나는데 조선 선조 때 동인과 서인이 싸운 이유는 언제 쳐들어 올지 모르는 왜군보다 눈 앞의 선조가 뭘 하는 지가 자기에게 미칠 영향이 크기 때문이었을 거다.

여튼 위의 기본적인 분류와 다르게 현대 정치는 고급 행정인과 정치인은 통합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와 행정은 각자 다른 일을 맡고 있기 때문에 그 자아를 분리해 내고 균형을 맞추는 게 중요하다. 지금 행정부는 가만히 보면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났는 지에는 거의 관심이 없는 거 같고 여론의 추이 쪽에 훨씬 관심이 많다. 작년 세월호, 지금 메르스에서 사망자 숫자가 버젓이 있는데도 처음에는 유언비어의 차단, 지금은 지나친 혼란에 더 신경 쓰는 것도 같은 이유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여론의 향방에(만) 예민한 뛰어난 선대 위원장은 절대 행정부 수장이 되면 안된다.

메르스 사태에 너무 지나치게 반응하는 건 물론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다고 방관하는 건 더욱 좋지 않다. 예컨대 요 며칠 사실 별 거 아니다...라는 뉴스가 계속 나온다. 그리고 여당 의원 중 한 명은 메르스라는 이름을 어쩌구 감기 정도로 바꾸자는 이야기도 했다. 이런 일이 만들어 내는 결론은 자명한데 : 메르스가 퍼진 병원에 다녀온 건강한 사람이 감염이 되었다 -> 뭔가 걸린 거 같긴 한 데 별로 안 아프고 뉴스에서도 별 병 아니라고 한다 -> 그냥 신고도 안하고, 그냥 돌아다닌다 -> 이 병에 걸리면 안되는 취약자에게 옮는다 -> 위독 또는 사망.

그러므로 지가 아프든 안아프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노출 된 가능성이 있다면 병원에 가서 확인을 하고 맞다면 격리가 되는 게 순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병이 위험할 수 있다고 강조하는 게 먼저다. 이 병으로 죽는 사람은 원래 죽을 사람....이라는 태도가 기본적으로 깔려있다니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다.

또한 난데없이 서울 모 대학 병원 의사인가 박사인가 하는 분이 메르스는 별 게 아니고 결핵이 더 문제라는 이야기인가 논문인가 글인가를 썼던데 결핵이 더 문제라고 메르스에 걸린 사람이 낫는 게 아니다. 결핵도 문제고 지금 메르스도 문제다가 맞다. 결핵도 통제에 실패했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는 판국에 결핵 물타기라니 뭔지 모르겠다.

그건 그렇고 아리아나 그란데가 며칠 전 긴 트윗 글을 올리면서 연예인 페미니즘 전선에 발을 살짝 담군 게 화제가 되었다. 중간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여태 살면서 남자가 없으면 안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었는데 8개월 간 없이 지내면서 없어도 살 수 있구나...라고 생각했다는 거. 뭐 아리아나가 진짜 그렇게 되었다고 믿진 않지만 여튼 성장했나 보구나... 나는 잘 안되고 있는 건데...

어쨌든 아리아나 그란데는 93년 생으로 한국에는 이 나이 대(8후반부터 9초반)에 수도 없이 많은 여성 연예인들이 있고 초특급 스타도 꽤나 있다. 그래서 누가, 언제 쯤 이쪽을 치고 나올려나 궁금해 하고 있다. 뭐 분위기 상으론 한참 더 걸릴 거 같기도 하지만 갑자기 흐름이 바뀔 수도 있는 거고. 몇몇 커뮤에 아리아나의 글에 대한 우호적 댓글이 많이 보이는 건 꽤 인상적이다. 여튼 겸사겸사 동갑내기 보미의 아리아나 그란데, Problem 커버나 보면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독, 내부, 호우

1. 인간은 지상에서 살도록 진화한 동물이라 수영처럼 물에서 하는 활동을 하려고 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긴다. 물론 조상을 따라 올라가면 해파리나 다랑어, 수생 플랑크톤 같은 생물과 겹치는 부분이 나오겠지만 이런 스쳐지나간 유전자를 현생에 끌어 올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