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14

일요일 하나 더

바로 전 포스팅에서 요새 보는 예능 방송이 3개 정도라고 했는데 불규칙적으로 보는 것들이 있다. 대부분은 뉴스 등 인터넷을 뒤적거리다가 누가 어디에 나왔다더라 하면 보게 된다. 그리고 또 종종 복면가왕도 본다. 일요일에 집에 있을 때 밥 먹는 시간과 겹치기 때문에 멍하니 틀어놓고 있게 된다.

이 방송은 개인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것들이 많이 모여있는데 그럼에도 왜 무난하게 보고 있는가를 곰곰이 생각해 보면 역시 오바하지 않기 때문인 거 같다. 가창력 중심의 방송은 대부분 나가수나 불명, 소풍이나 스케치북 처럼 뭔가 특유의 아우라가 생기기 마련인데 이건 그런 게 좀 약해서 적어도 볼 수 있는 수준이다. 동시간 대 다른 방송들은 영 민망해서 보기가 어렵다... 근데 오늘은 밤에 보고 있음... 말이 앞뒤가 안 맞는 건 인간의 특권...

그렇지만 몇 가지 의아한 점은 있는데 : 1) 방송 컨셉트를 보면 얼굴을 감추고 진짜 노래를 듣는다가 목적인데 패널들은 누군지 맞추는 데 집중한다. 보는 사람들도 사실 마찬가지다. 물론 이게 가장 큰 예능적인 요소이기 때문이기 때문에 이해는 간다. 여튼 걸그룹 멤버의 경우엔 거의 알겠는데 나머지는 하나도 모르겠다. 2) 또 하나는 김연우나 에일리 이런 사람들이 나오는 건 좀 반칙이 아닌가 싶다. 예컨대 에펙 루나, 블락비 태일이나 빅스 켄, 걸데 소진 정도가 딱 좋지 않나... 그리고 남주나 보미 그외 기다리는 몇 명이 나올 때까지 계속 보게 될 듯... 근데 약수터 어머니는 은지냐...


좀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동네가 서울 구석이라 집 앞에 나가면 완전히 산들이다. 오밤중에 나가보면 귀뚜라미인지 개구리인지 벌레인지 우는 소리가 막 들리는데 여행 스케치 별이 진다네 인트로 부분이랑 똑같다. 필요 없는 기억들은 잘 지워지지 않는다.

가만히 앉아 있으면 쓸데 없는 생각을 너무 많이 하기 때문에 계속 뭔가를 한다. 덕분에 뉴스 같은 걸 너무 보고, 뭔가를 계속 읽고, 방송이나 노래를 계속 틀어놓는다. 그리고 몸을 혹사시킨다. 그런데 혹사시킬 일도 별로 없기 때문에 한없이 걷는 것 같은 하릴없는 운동을 하든지, 잉여노동력을 여기저기에 쓰고 있다.

끊었던 담배를 다시 피게 된 이유를 생각해(핑계를 찾아) 보면 끊은지 3개월 쯤 될 때 누군가 해외 여행을 다녀오면서 몇 갑을 줬기 때문이다. 뭐 준 사람 잘못은 물론 아니고 받아든 사람이 잘못이지만 여튼 그 장면을 생각하면 데블스 애드버킷 마지막에 키애누 리브스한테 인터뷰 약속을 받고 스윽 웃는 알 파치노의 모습이 떠오른다... 준 사람 잘못이라는 건 아니고. 

스티븐 킹의 금연주식회사도 생각나는군. 아주 예전에 엠비씨 베스트극장에서 그거 한 적 있는데... 유튜브에는 없네. 그런데 개인적으로 담배 이야기는 그 흡연자들이 좀비 취급 받으면서 쫓기다가 옥상 위에서 마지막 담배 피는 거... 그 이야기 좋아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독, 내부, 호우

1. 인간은 지상에서 살도록 진화한 동물이라 수영처럼 물에서 하는 활동을 하려고 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긴다. 물론 조상을 따라 올라가면 해파리나 다랑어, 수생 플랑크톤 같은 생물과 겹치는 부분이 나오겠지만 이런 스쳐지나간 유전자를 현생에 끌어 올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