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18

소소한 근래의 리슨과 와칭

1. 라구람 라잔의 폴트 라인을 여전히 천천히 읽고 있다. 너무 천천히 읽는 거 같기는 하다.

2. 러셀의 철학이란 무엇인가도 겸사 겸사 보고 있다. 러셀은, 재미있는 사람이다. 이 책은 너무 오래되서 마치 사해 문서 같은 걸 보는 기분이다. 종이는 금방이라도 분해될 것 처럼 바스락거리고 냄새, 옛날 책에서 나는 그 냄새, 도 많이 난다.

3. La Reux(라 루라고 읽나보다)라는 영국 그룹을 우연히 소개 받아 들어봤다. 여성 2인조 듀오로 레트로한 분위기의 신스팝 그룹이다. 요즘 오밀조밀한 소리를 듣고 싶지 않아 볼륨을 좀 키워놓고 듣는 때가 많은데 이 그룹은 무엇보다 당당거리는 신스 베이스 음이 매력적이다.

4. Perfume 이야기를 며칠 전에 잠깐 했는데 그들의 모든 음반을 다 구했다. 하지만 얘네들은 음악보다 춤이 더 매력적인거 같다. MV로 구할 걸 그랬다. Perfume만 계속 들으면 골치가 아파오는 데 랜덤으로 듣다가 중간에 한 번씩 나오면 그건 참 좋다.

5. 어제 귤을 먹으면서 폴트 라인을 읽으며 아이튠스 DJ를 틀어놨는데 셀로니우스 몽크가 흘러나왔다. 그래, 이렇게 좋은 게 있었지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6. 잠을 자려고 누워있다가 갑자기 생각나 신세기 에반게리온 극장판 : 서를 봤다. 머리가 복잡할 때 이런 식으로 도주하는 건 좋지 않은 데 자꾸 그런다. 여튼 덕분에 오늘 종일 고스란히 졸리다.

동생이 에반게리온을 꽤 좋아해 잔뜩 얻어놓은 게 있었는데, 보다가 보니 나는 이 영화를 처음 보는 거였다. TV 판만 봤던 거 같다. 그리고나서 위키피디아에서 몇 가지 관련된 내용을 읽어보고 잠들었다. 내가 연표 보는 걸 좋아한다는 걸 깨달았다. 조만간 TV 판을 다시 돌고 파와 사도신생, 에어도 보게 될 거 같다.

딱히 확 끌리는 게 있는 건 아니고, 에반게리온이 분명 어느 특정 연도 쯤 출신의 사람들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친 거 같은데 그 정확한 느낌은 잘 모르겠다. 내 쪽을 예로 들자면 더 영향을 미친 건 역시 999와 아키라 쪽이다. 그리고 공각기동대를 조금 좋아한다(그 웃기는 진지함이 너무 좋다).

7. 이태리의 새 총리는 마리오 몬티라는 사람이다. 학부는 경제학 전공으로 이태리에서 마치고 예일대로 가 토빈의 제자였단다. 포트폴리오 이론, 토빈의 q, 토빈세, 케인지안, 합리적 기대가설을 부인한 바로 그 토빈이다. 여기서 요지는 정치계에 꽤 머무르긴 했지만 어쨋든 경제학자가 총리가 되었다는 점이다.

8. iTunes Match를 구독하고 싶다. 음원 세탁도 매력적이지만(불법 음원에 비용을 매기는 데 성공한 건 정말 천재적 발상이 아닌가 생각한다), 데스크탑에만 묶여있는 mp3들을 해방시켜 여기저기서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싶다. 일단은 지금 쓰고 있는 멜론이 끝날 때 까지(보름 쯤 남았다)는 가보고 결정할 예정이다.

다만 아이팟 나노에서의 불편함(연결, 선곡, 전송)은 전혀 해소되지 않는다는 게 마음에 걸린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