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31

짜장면이 짜장면이 되었다

제목에 하고 싶은 말 다 하려다 보니 이렇게 길다. 여튼 어제인가 오늘인가부로 드디어 짜장면을 짜장면이라 부를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자장면이라는 낯선 발음을 하지 않아도 되게 되었고, 간짜장인가 간자장인가 하는 고민도 필요없게 되었다.

 

이외에도 표준어로 인정된 것은 다음과 같다.

간지럽히다 - '간질이다'가 표준어였는데 복수 표준어가 되었다.

맨날 - 역시 '만날'과 함께 표준어가 되었다.

남사스럽다 - 원래 표준어는 '남우세스럽다'였다. 역시 복수 표준어.

눈꼬리 - 눈초리, 눈꼬리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고 눈초리가 표준어였는데 눈꼬리의 다른 쓰임을 인정하고 별도 표준어가 되었다.

~하길래 - '~하기에'가 표준어다. 구어적 표현으로 인정되었다.

먹거리, 내음(향기롭거나 나쁘지 않은 냄새), 순주(손자 + 손녀), 택견(기존은 태껸), 품새(기존은 품세)도 있다.

 

 

정확한 단어나 의미가 궁금할 때는 네이버나 야후 사전을 찾아가 보는 것 보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추천한다. 포탈 사전에는 없는 단어들도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간짜장).

http://stdweb2.korean.go.kr

어차피 사전이지만 정부가 개입된 사이트로서는 드물게 액티브 X도 필요없고, 크롬이나 파이어폭스에서도 제대로 돌아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체력, 피곤, 재미

1. 체력이 딸리는 거 같아서 일주일 2회 강습 + 1회 자수 루틴에서 1회 자수를 빼기로 했는데 그랬더니 또 찌뿌둥해지는 거 같아서 다시 1회 자수를 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에 동묘에 있는 걸 처음 가봤는데 표 살 때부터 줄을 서더니 초급 레인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