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26

컨셉코리아 SS12

패션하고 관련된 내용인데 어떻게 하다보니 여기에다 쓴다. 배너가 왜 저렇게 나오는걸까.

PS WLW에서는 배너가 깨져보였는데 막상 블로그에 올리고 보니 잘 나온다.

 

간단하게 내용을 요약하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미국 시장에 패션 한류를 일으켜보고자 대표 디자이너 5인을 선정했다. 사실 이 캠페인은 2010년 2월에 시작되었고 이번이 4번째 시즌이다. 여기에 선정되면 올해 9월과 내년 2월 뉴욕 패션 위크에 참가하고, 이외 여러가지 지원을 받는다. 그리고 패션 위크 둘째날 뉴욕에서 따로 개막식과 프리젠테이션도 있다.

꽤 큰 혜택이 아닐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심사도 까다로워 보도 자료에 따르면 現 뉴욕패션위크를 만든 미국 패션계의 대모인 펀 말리스(Fern Mallis), 세계적 패션학자이자 FIT(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박물관의 총괄 큐레이터인 발레리 스틸(Valerie Steele), 뉴욕패션위크 총괄 프로듀서인 크리스티나 널트(Christina Neault), 미국패션디자인협회(CFDA: Council of Fashion Designer of America) 부총장인 리사 스마일러(Lisa Smilor), 미국 패션 전문지 WWD 수석 에디터인 데이비드 립케(David Lipke) 등 7명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고 한다.

이번 4번째 시즌 디자이너는 도호, 손정완, 스티브&요니, 이상봉, 이주영 이렇게 다섯 명이다.

 

기우를 조금 붙이자면 : 이런 정부 중심의 문화 산업 진출에 대해 아주 복잡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 분명 가만히 있을 일은 아니고 도움이 된다. 런던도 밀라노도 파리도 단지 디자이너 개개인의 힘으로 지금 같은 권위와 영향력을 가지게 된 건 아니다.

그렇지만 관의 지나친 개입은 또 문제를 낳는다. 어쨋든 가시적인 성과를 얻어야 하고, 또 따라다니는 사람도 많고, 검증하는 절차도 복잡하다. 어쨋든 시민들이 낸 세금을 사용하는 정책이다. 그리고 이렇게 흘러다니는 돈에 파리떼처럼 달라붙는 사람들도 무지하게 많은게 현실이다.

비슷하게 요즘 소위 '한류' 아이돌이 세계 곳곳에서 인기를 끌면서 이걸 가지고 뭘 좀 해볼까 하는 정책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대규모 한류 콘서트의 기획 같은 게 그런 거다. SM 쪽에서 민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약간 우려의 목소리를 낸 걸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이 쪽은 기획사들이 워낙 거대해 디자이너들처럼 마냥 치이진 않을 거라 예상된다.

 

또 하나는 패션이라는 게, 그리고 디자인이나 음악이나 다른 모든 것들도 마찬가지이지만 그냥 특출난 몇 명의 힘으로 되는 게 아니다. 사회가 떠 받쳐줘야 한다. 그런 것들이 모두 합쳐져 한 나라의 이미지가 나오고, 그게 디자이너의 패션에 더 해진다.

하지만 근 몇 년째 유난히 가시적인 디자인에 심취해 있는 근래 관의 행태를 볼 때 이게 어떤 식으로 나아가게 될 지 약간 걱정이 되는 측면이 있다. 디자인이라는 건 몇 몇 유력자들이 보면서 감탄하라고 존재하는 게 아니라 평범한 시민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더 많은 만족감을 얻으며 사용하라고 존재하는 것이다.

 

이런 분야에서는 민과 관의 절묘한 균형 유지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어쨋든 이왕 선정되었고, 심사 위원도 신경써서 선임한 것 같고, 뉴욕에서 많은 홍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으니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뭐든 하나가 인기의 조짐이 보일 때 이런 식으로 같이 가야 된다. 스타벅스 커피도 준다하니 열심히 써봤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