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522

크라임씬 시즌 3

요새는 예전에 비하자면 정말 뭐 보는 게 없는데... 크라임씬 시즌 3는 꾸준히 보고 있다. 사실 이런 류의 방송은 편집에 의해 얼마든 은닉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면을 보면서 뭔가 추리하는 건 의미가 없다. 다만 너무 엉뚱한 식이면 보는 사람들이 싫증을 느낄 가능성이 높으므로 발란스를 잘 맞추는 게 중요하다. 또한 역할극을 해야 하는데 너무 오버를 하거나 잘 못해도 문제가 생긴다. 일단 민망해지면 곤란하다.

여튼 이렇게 보자면 이게 예능으로 어떻게 성립하느냐...라는 문제가 있는데 전체적인 균형이 아직은 잘 맞춰지고 있다. 다만 시즌 2에서는 하니 - 박지윤 - 홍진호 - 장동민으로 이어지는 콤비가 연기와 동시에 예능을 해내는 합을 잘 이뤄 냈다. 그리고 장진이 주변을 아우르고.

이런 점에서 보자면 이번 시즌은 아직은 좀 가라앉아 있다. 김지훈이 그나마 이런 롤을 해내고 있는데 김지훈 - 박지윤으로 잘 이어지지 않는다. 양세형 - 박지윤이 경찰 콤비로 두 회를 이어갔는데 아직은 별로인 거 같다. 은지는 어디로도 연결점을 만들지 않고 있고 게다가 너무 진지하다...

김병욱 게스트는 지금 방송 체제의 장점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 거 같다. 분명 재밌었고 역시 훌륭하게 자신의 역할을 해냈지만 동시에 적극적이지 않은 관찰자 시점으로 증거 대신 인간을 관찰하는 것만 가지고 범인을 찾아냈다. 그렇지만 이 방송은 증거 중심 체제가 될 수 밖에 없고, 그렇다고 모든 걸 다 뒤질 수는 없으니까 그걸 각자가 가지고 있는 이유에 기반해 찾아내는 구조가 된다.

이번 시즌들어 모두에게 이유가 충분하고 능히 살인을 저지를 수 있는 악인으로 설정된 시나리오들이 늘어났는데 이 점은 예전 시즌에 비해 조금 더 재밌는 점 같다. 하지만 김병욱 게스트 편은 인과의 고리가 너무 약했다는 문제가 있고 추적을 방해하는 가짜 증거물들이 지나치게 많았다.

어쨌든 아직은 민망한 구석도 없고, 잘 짜여져 있고, 또 각자 역할을 해내는 걸 보는 재미가 여전히 있다. 5회 넘어가고 중반에 접어들면 시즌 2의 여객선 스토리처럼 스케일 큰 회차가 등장할 거 같은데 제작진이 과연 어떤 걸 펼쳐낼 지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박지윤은 여전히 대단하고 굉장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