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08

벌써 1월 8일이다

1. 슈페어를 다 읽고 중력의 임무를 읽기 시작했다. 이건 뭔가 금방 졸려와서 한참 걸릴 듯.

2.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을 너무 전면적으로 피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했는데 역시 인간에게는 전투력이 필요한 고로 영화를 몇 편 봤다. 연말에 푹, 올레TV 등등에서 주는 것들을 다 집어 모았더니 포인트가 1만 점 쯤 있고 실시간 TV를 한달 간 두 개나 돌리고 있는데 하나도 안 보고 넷플릭스나 보고... 여튼.

슈페어에서 읽은 걸 화면으로 보고 싶은 생각에 우선 발키리. 톰 크루즈가 이런 걸 찍었나... 고증에 충실한 영화라는 평이 있는데 결과적으로는 그냥 그렇다.

발키리 - 히틀러 암살 작전은 재미있는게 이 반란을 기획한 이들이 말하자면 군부의 극보수파들 즉 왕정 복구파였다는 거다. 만약에 성공해서 이들의 계획대로 돌아갔다면 아마 독일은 왕정 복귀를 하게 되었을 거다. 물론 히틀러를 죽인다고 해도 그 뒤에 복잡한 일들이 많기 때문에 저렇게 흘러가는 건 불가능하고 히믈러 등등이 정권을 잡았을 가능성이 높다.

여튼 그래도 독일인들이라고 히틀러를 가만히 둔 건 아니다라는 상징 중 하나로 이 사건은 초기의 악평에 비해 나중에 꽤 높은 위치로 격상되었다.

영화를 보면서 톰 크루즈가 배역한 이 암살 사건의 주모자 스타우펜버그 대령의 가족 생사가 궁금했는데 부인은 2006년까지 살다가 돌아가셨다고 한다. 그나마 다행이다.


그리고 더 워 마지막 작전인가 뭔가 하는 거. 덴마크 영화다. 반은 전쟁의 현장과 참사, 반은 법정에서 진행된다. 이 영화는 선진국이란 어떤 건가 라는 걸 매우 선명하게 보여준다. 영화의 내용 자체가 지닌 깝깝한 면이 굉장히 크지만 그런 깝깝함이 현실이고 그걸 어떻게 극복해 나아가야 하는가가 인류가 할 일이다.

더불어 현재 모 분이 덴마크에 머물고 있어서 이 나라의 법 제도가 논의 대상이 되고는 하는데 직접적인 관련은 물론 없지만 저 나라는 대충 어떻게 돌아가는 지 엿볼 수 있다.


뭐 또 몇 가지 잠깐씩 들춰봤는데 보다가 말았다. 미션 임파서블 4 두바이 신도 잠깐 봤구나.

3. 에이프릴은 차트에서 왜 이렇게 힘을 못쓰고 있을까. 동영상 조회수도 괜찮게 나오고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 검색어 순위도 상당히 높은데(심지어 1위를 몇 번 찍었다) 음원 차트에서는 영 힘을 못 쓰고 있다.

이전 콘셉트와 비교하자면 꽤 변하긴 했지만 아직은 그 변화를 명확하게 각인 시키지는 못했고, 이 에이프릴 특유의 콘셉트에 대한 대중적 허들이 높은 편이고, 통으로 캐리해 갈 멤버가 아직은 부족하다는 게 문제인 거 같은데(진솔, 채경이 뭘 좀 더 해야한다) 그렇다고 해도 포털 반응과 차트 사이의 갭이 너무 크다.

물론 은근 대접을 못받고 있는 문제도 분명히 있다. 비슷한 티어이긴 하지만 우주소녀 쪽이 확실히 더 큰 대중 인지도가 있고(여튼 추석의 아이돌 성소가 있으니까) 음방에서도 컴백 기념으로 두 곡 씩 나왔다. 차트 성적은 거의 비슷하지만 에이프릴은 모두 한 곡만 했고 이에 따라 차트 성적도 조금씩 벌어진다. 뭐 그래도 고만고만하다.

여튼 아직 갈 길이 머니까 올 해 예능도 많이 나오고 그래야 겠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