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28

생명의 다리

생명의 다리 형광등이 사라진다고 한다(링크). 보험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었다는 점, 근데 돈 없어서 그만 한다는 점이 꽤 흥미롭다. 여튼 없어지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게 우선 떨어지려고 거기 간 사람이 그거 보고 안 떨어질 확률이 얼마나 될 지도 모르겠고, 그냥 간 사람한테는 밝아서 시야에 방해가 되고 있었다.

한강 가서 떨어질 일이 없는 나라가 되는 게 가장 좋은 해결책이겠지만 그 길은 너무 머니까 일단은 눈 앞에 놓여있는 위험 가능성 물질을 치운다는 점에서 생각해 보자면 난간을 높이는 게 가장 좋은 해결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올라가기 어렵게 하는 것도 있고, 올라가는 동안 많은 사람들 눈에 띄기 때문에 그 때문에 못 올라가게 하거나, 혹은 신고를 할 틈을 좀 더 벌어줄 수 있을 거 같다.

한강의 특징이라면 우선 바로 뒤에서 떨어져도 모른다(금방 넘어갈 수 있다, 다리가 높게 있어서 물에 떨어지는 소리가 안 들린다). 자동차 소음도 꽤 심한 편이라 이게 사방 팔방 두리번거리며 가는 사람이 아니라면 알 수가 없다.

그리고 물에 떨어진 다음 수면 아래로 가라 앉을 때까지 약간 텀이 있다. 대략 1, 2분 정도인 거 같은데 가라앉고 나면 못 찾는 거 같다. 그러므로 신고하고 출동하는 데 보통 4, 5분 정도 걸리는 거 같은데 난간이 높으면 발견될 확률이 높아지고 그러므로 떨어진 다음 발견될 확률도 약간은 높아지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난간을 설치한다면 자동차를 타고 한강을 지나가면서 한강이 안 보이게 될 가능성이 있는데 그러면 아마도 싫어할 거다. 그러므로 투명 아크릴이라든가...를 써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난간 설치에 얼마나 돈이 드느냐인데... 보니까 할당 예산은 7억. 으음.. 여튼 의견 받는 다든데 건의는 해 볼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