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11

음색, 평등

어떻게든 이 감기를 월요일까지 끌고 가지 않으리라는 결의 속에서 일요일에 거의 내내 누워있기만 했다. 하도 누워있었더니 답답해서 잠시 산책을 하고, 강아지 목욕도 시켰지만 여튼 결론적으로 한 일은 누워있서 졸다 깨다 한 일과 약물의 과용...


누워 있으면서 가장 많이 들은 음악은 데프콘의 이번 앨범 'i am not a pigeon'이다. 데프콘이 히트곡을 한 세곡 연속 내놔서 케이 힙합 지형을 좀 바꿔놓으면 아주 재미있겠다라고 생각은 하지만 이 분은 멜로디 라인, 특히 사비 라인을 귀에 쏙 들어오고 한 번 들으면 잊지 못하고 따라 부르게 만드는 타입은 아니라서 그런 건 역시 좀 어려울 거 같다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든다.

작곡자로서는 어떻게 그런 걸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싶긴 한데 어디 한 부분이 꽤나 대쪽 같은 듯한 분이라... 독고다이... 2010년이었나... 하지만 사운드 톤은 확실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 특유의 김 빠진 소리 - 어디 한 부분만 귀에 들어와도 데프콘인가 하게 되는 건 분명하다.

데프콘의 음악은 크게 야한 것과 욕으로 나눌 수가 있다. 힙합 유치원 같은 것도 있지만 그런 건 이제 아마도 대준이라는 이름으로 하게 될 거 같으니(인터뷰에서 그렇게 말하는 걸 들은 듯) 분리다. 여튼 야함과 욕 중 이번 음반은 욕 쪽에 약간 치우쳐 있다. 우리집갈래 같은 곡이 있긴 하지만 예전의 야한 곡들과 비교하면 그건 좀...

여튼 데프콘 음악은 이어폰으로 들으면 좀 민망한 데가 있는데 집에서 스피커로 크게 들으면 그나마 좀 들을 수 있다. 특히 이 김빠진 사운드는 약간 중독성도 있어서 나중에는 랩이야 하든 말든 소리만 들으면서 곡을 듣게 되기도 하고... 이번 음반 뿐만 아니라 데프콘 음반이 보통 그렇다.

여튼 민망함은 왜 그런가 하면 케이 올드스쿨 힙합 특유의 진지함이랄까... 이런 게 듣기가 좀 어렵기도 하고,  이 분은 여튼 뼈속까지 중 2스럽기 때문이다. 중 2라기보다는 뭐 소년의 마음 정도로... 이미 그렇게 뿌리를 너무 깊게 내렸고, 나쁘냐 마냐를 떠들기에는 이미 그게 한 몸이 되어 그런 음악을 하는 사람이 되었고, 그러므로 그걸 이해하느냐 마느냐에서 듣고 말고가 갈릴 뿐이다.

대형 히트곡이 안 나오는 게 여전히 아쉽고(조금만 방향을 틀면 할 수 있을 거 같아서 하는 말이다), 예능인 데프콘을 꽤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이렇게 가끔 내뱉을 수 있는 창고가 있다는 것도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이렇게 내뱉어야 한 다는 게 이미 소년의 증거고, 그걸 극복했으면 좋겠지만 안 그러고 사는 것도 또 이런 음악을 하는 사람도 있는 거고... 여튼 자주 듣지는 않지만 뭔가 나오면 나름 챙겨 듣게 되는 거고.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나 팬덤은 특유의 평등 질서가 있다. 얼마전 조 배우 디씨갤 사건 때도 잠시 언급을 했었는데... 여튼 이게 바깥과는 약간 다르고, 애초에 형식적 평등 양식에 치우쳐 있기는 하지만 그런 게 존재한다. 그래서 처음에는 적응이 어렵지만 이런 데 잠깐만 몸을 담다 보면 금방 깨우치게 된다. 예를 들어 스타가 올드팬을 불러내 같이 노는 거 -> X, 기획사가 회원 중 일부에게 팬 미팅 앞자리를 제공하는 거 -> X, 씨디 구매량에 따라 팬싸 투표권을 주는 거 -> O, 콘서트에 개인 친구 표 주는 거 -> O, 개인 팬 표 주는 거 -> X 뭐 이런 식. 여튼 팬이라는 집단 안에는 적어도 복불복의 요소가 존재하게 되고, 그게 형식적 평등의 기반이 된다.

이번 스르륵 사태도 근본적으로는 평등이 깨지는 데서 비롯되었다. 물론 오유+일베 vs 여시라는 대규모 논쟁으로 커지긴 했고 그 안에 여러 이상하고 복잡한 논점들이 자리 잡고는 있지만 애초에 스르륵 내부의 동요 원인을 보면 : 스르륵은 대용량 사진을 많이 올리는 곳이고 그러므로 사이트 유지에 비용이 많이 든다. 그래서 개인 회원들은 기부를 하든가, 이왕 하는 물품 구입을 스르륵에서 해 운영에 도움을 준다 -> 근데 특혜가 엉뚱한 곳으로 가고 있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여튼 이 구조를 좀 더 명확히 파악해 보고 싶은 생각이 있긴 한데... 그리고 스르륵 사람들이 오유에서 과연 적응이 가능할까도 궁금. 각 커뮤니티마다 분위기가 다르긴 하지만 저 둘은 달라도 너무 다른데.


자기 몸의 크기와 위치를 가늠하지 못하고 사방팔방 치고 다니는 건 현대에 퍼지고 있는 무슨 전염병 같은 게 아닐까?


최근 정신적인 충격을 받는 사건이 몇 있었는데 이게 그려려니 하며 지나치려고 하고 있지만 머리 속에서 조금씩 조금씩 더 커져가는 게 느껴진다. 전혀 생각지도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비슷했던 동종의 사건들에 대한 기억 때문에 그러한 거 같기도 하다. 이 머리는 쓸데없는 것들을 너무 세세하게 기억한다.여튼 시간이 아마도 약이 되겠지만, 방치는 다른 부분을 (손 쓸 방법이 없을 정도로) 잠식하게 된다. 그런데 딱히 이 상황을 타개할 다른 수가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이긴 하지만.


어제 밤에 잠이 안와서(낮에 계속 잤으니...) 유튜브를 뒤적거리다가 전투 신 모음이라는 게 있길래 보기 시작해 한참을 찾아 보다가 킹스맨을 봤다. 킹스맨은 그냥 생각보다 훨씬 더 시덥잖았는데 마지막에 태런 에저튼이 공주랑 자보는 게 소원이었어요 하는 부분은 약간 웃기다. 뭐 전반이 그런 식이긴 하지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