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08

강아지 잊어버렸을 때

얼마 전 강아지를 잊어버렸다가 다시 찾았다는 이야기를 쓴 적 있습니다. 이후 뭐 그 당시 처럼은 아니지만 종종 게시판에서 실종된 강아지들 얼굴도 익혀두고 그러고 있습니다. 서울시 같은 경우엔 누가 집어가는 게 아니라면 일단은 바로 보호소로 옮겨버리는 거 같아요. 동네마다 가게 되는 보호소가 다르니 각 구청에 문의해 어디로 가게되는 지 알아보세요.

여튼 잊어버리고 실종 게시판에 사진과 함께 올린 글들을 보면 사람 말을 잘 따라요, 앉아 하면 잘 앉아요, 겁이 많아요 이런 이야기들 써 놓는 분들이 많은데 그런 거 사실 별로 소용없습니다. 밖에 나가서 어떤 일을 겪었는가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쇼크 상태이니 겁을 잔뜩 먹고 있고, 주인이 코 앞에 있어도 누군지 못 알아보는 경우도 많아요.

당시 잊어버렸다가 찾은 사례를 열심히 읽었었는데 며칠을 이름을 부르고 다녔는데 안 나타나다가 집 바로 앞 지하실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름 부른다고 나오면 좋겠지만, 잘 안 나와요. 무섭거든요.

안 나가면 그냥 다행인 겁니다. 언제 사라질 지 몰라요. 집 앞에 잠깐 나갔는데 앞에서 자동차가 빵 한번 하고, 동네 꼬마애들이 쟤 뭐냐 하고 우르르 쫓아와서 겁먹고 잠깐 도망치면 그대로 어딘 지 모르는 곳으로 흘러가 버리는 거에요.

 

여튼 강아지를 기르고 있다면 알아놓는 게 좋을 거 같아서 여튼 혹시나 그런 일이 발생할 때 대비해 저번에 두서없게 써 본적이 있는데 대충 정리해 놓습니다. 고양이의 경우엔 많이 다를 거 같은데 키워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저번에 게시판 뒤지면서 본 바로는 고양이의 경우 아파트라면 제일 높은 곳 아니면 제일 낮은 곳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더군요.

 

1. 길을 돌아다니며 직접 찾을 수 있는 확률은 극히 낮은 거 같습니다. 안 할 수는 없겠지만 그런 식으로 만날 확률은 너무 낮아요.

바로 옆에 있어도 어디 숨어있으면 모를 수 있습니다. 강아지가 길을 잃으면 다른 강아지/고양이/그외 다른 것들/자동차 소리/시끄러운 소리/위협적인 사람들을 피해 어디론가 가게 됩니다. 어디로 가게 될지 방향을 전혀 짐작할 수 없어요.

보통 도심에서 작은 견들은 1km 정도 이동한다는데, 말이 1km지 그게 어느 방향일지 모릅니다. 그냥 계산해도 좌우 2km씩인데 다음 지도에서 양쪽 2km 네모 쳐보면 아시겠지만 그게 생각보다 꽤 넓습니다. 하루 더 지나면 그때부턴 기하급수적으로 범위가 증가합니다. 큰 강아지들은 국도 따라서 상상도 못하게 멀리 가버릴 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여튼 돌아다니는 건 전단지 붙이는 거라든가와 병행하면서 '혹시나' 정도로 생각하는 게 나은 듯 합니다.

2. 집으로 다시 돌아올 확률이 있기는 한데 역시 낮습니다. 그런 식의 복귀율이 8% 정도 된다더군요. 만약 근처에 숨어있다가 새벽에 다시 돌아온다면 정말 운이 좋은 겁니다.

3. 좋아하는 물건, 강아지 이름, 좋아하는 장난감에서 나는 소리 같은 것도 별로 소용없을 수 있습니다. 강아지들이 당황하면 전혀 아무 생각도 안 해버리는 거 같습니다.

4. 전단지에 보면 습성, 습관, 좋아하는 것, 버릇 이런 거 써놓으신 분들이 많습니다.

위에서 말했듯 강아지가 당황하면 다 잊어버리기 때문에 그런 건 필요없을 수도 있습니다. 집에 있을 때 진짜 좋아하던 소리나는 악어 장난감이 있는데, 동물구조센터에서 그 소리를 냈더니 무서워하며 도망갔습니다. 저도 못알아봤는데요 뭐. 또 옷이나 목끈 같은 것도 모를 일입니다. 웅이는 맨 몸으로 나갔는데 다시 만났을 때는 왠 커다란 목끈을 하나 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같은 견종끼리는 비슷비슷하게 생긴 게 많고, 며칠 바깥에 있던 개들은 꽤 다른 모습을 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절대 안 변할 신체적 특징들을 기억해 놓는게 좋습니다. 웅이의 경우 아래 이빨 중 하나가 살짝 삐툴어져있고, 배 특정 부위에 점이 몇 개 있고 뭐 그런 것들이 있었습니다. 강아지를 키우신다면 절대 변하지 않을 신체적 특징들을 꼭 기억해 놓으세요.

5. 일단 사라지면 먼저 좀 찾아보겠죠. 그 다음 몇 개 사이트가 있습니다.

animal.go.kr / animal.or.kr / karama.or.kr / angel.or.kr 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강사모 등 포털에 카페도 몇 개 있습니다. 거기에 사진과 함께 제반 사항을 올려놓는 게 좋습니다. 이상한 사람들 많기 때문에 전화 번호 정도만 함께 올리면 됩니다. 사례금이 높으면 찾을 확률이 훨씬 늘어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이상한 전화도 많이 온다더군요. 그래도 뭐 그런 건 할 수 없죠.

그리고 위 사이트에 발견되어 보호소로 온 동물들 리스트가 올라옵니다. 보면 강아지, 고양이 뿐만 아니라 앵무새, 병아리, 고슴도치도 있더군요. 앵무새는 날아가지 않을까 싶은데 여튼 잘 모르겠습니다. 하루에 올라오는 수가 꽤 많습니다. 그걸 매일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또 인터넷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발견한다면 여러 사이트에 올릴 수도 있습니다. 보관하고 있어요~ 같은 게시판들이 있습니다. 특히 애견 동호회 같은 활동하는 분들은 보호소로 갔다가 주인 못찾으면 강아지들이 어떤 운명을 맞이하게 되는 지 빤히 알기 때문에 어떻게든 직접 맡아서 찾아주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전단지를 만듭니다. 위에서 말했듯 직접 발견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찾는다면 누군가 발견하고 그걸 보관하든지, 보호소에 보내든지 둘 중 하나입니다. 보호소에 보내면 5번의 사이트 망에 걸립니다. 누가 데리고 있다면 그 분이 전단지를 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

전방 1km 내에 여기저기 붙이라고 하더군요. 확률적으로 여학생들 그리고 초등학생들이 집에 데리고 가거나 목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어른들은 옆에 개가 지나가든 말든 신경도 안 쓰는 경우가 많지만 애들은 보거든요. 주변에 학교가 있다면 꼭 거기 근처에도 붙이세요.

그리고 동네에서 놀고 있는 꼬마애들, 강아지 데리고 산책하는 분들도 필히 전단지 주면서 말이라도 붙여볼 사람들입니다. 아무래도 유심히 보는 분들이니까요. 계속 그 자리에 있는 가게 주인들도 마찬가지구요. 능청맞은 개들은 남의 가게에 떡하니 들어가기도 한답니다.

저는 사실 28일에 몇 장 안붙이고 다음날 A4지에 전단지 파일 만들어 프린트 준비하다가 행방을 찾아냈기 때문에 전단지를 많이 돌리고 하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위 사이트에 강아지 다시 찾은 이야기 이런 거 읽어보면 역시 전단지가 가장 확률이 높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평소에 신체적 특징을 기억해 놓는게 일단은 제일 중요한 거 같아요. 여튼 날이 무척 덥지만 입추도 지나니 저녁 바람이 확 바뀌네요. 강아지와 함께 여름 잘 보내자구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