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10

요즘 들은 이러저러한 것들 이야기

요즘 정신이 산란하여 마음도 한 곳에 놓여있지 못하고 발전소 포스팅 내용도 오락가락하고 뭐 그렇슴니당. 그러는 와중에도 뭔가 계속 듣고 있다는 게 그나마 내놓을 변명이군요.

 

1. KARA의 スーパーガール

スーパーガール(슈퍼걸)은 카라의 일본반 2집. 2011년 11월에 나왔다. 일본은 음반들이 정말 복잡한데 :

한정 초회반은 원래 수록곡 10곡 + 미스터, 점핑, STEP(이건 한글 버전으로) 이렇게 13곡이 들어있다. 이런 초회반이 A, B, C 세가지가 나왔는데 A는 DVD, B는 포토북, C는 그냥 13곡만 들어있는 버전이다. 셋 다 커버가 다르다.

이 중 C 버전 커버를 기반으로 통상반이 나왔다. 물론 통상반은 보너스 트랙을 제외하고 10곡이 들어있다.

일단 통상반의 경우 가지고 있는 한국 버전 카라 음반의 곡들과는 겹치는 게 없는 거 같다. 보아도 이런 식으로 음반을 냈었다. 덕분에 한국 노래를 일본어로 부르는 위화감은 없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딱히 떨어지는 퀄러티의 곡(그러니까 빈칸 채우기 용)은 없다.

솔직히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신난다. 틀자마자 ジェットコースターラブ(제토코스타=롤러코스터 러브)로 시작해서 ウィンターマジック(윈터 매직), GO GO サマー!(고고 섬머!), ドリーミンガール(드리밍 걸)까지 4번 트랙까지 뒤를 돌아보지 않고 내리치고 달리는 건 가히 일품이다.

일단 아이돌이니 MV, 음악 방송, 버라이어티를 좀 봐야 과연 어떤 포지셔닝을 취하고 있는 지 그 디테일을 좀 알텐데 AKB48 데뷔할 때 쯤 이후로 완전 끊어서 다시 뒤적거리기엔 이야기가 너무 복잡해져서 유투브에서 비디오나 몇 개.

고고 섬머! 오피셜 PV. 앞에 대사치는 건 없는 게 낫지 않았을까 싶은데...

 

롤러코스터 러브, 이건 음악 방송.

 

 

2. Lee Fields & The Expressions의 My World

사실 모르던 사람이었는데 며칠 전에 들어보고 챙겨 듣다. 소울 계열은 한 두곡 까지는 괜찮은데 넘어가면 그 과한 에너지에 몸이 좀 힘들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리 필즈는 꽤 유순하게 흘러가는 게 마음에 든다. 멍 하니 틀어놓기에 좋다.

 

3. Joy Division의 Unknown Pleasure

뉴 오더 511 비디오 보다가 조이 디비전 생각이 나서 아이튠스를 뒤적거렸더니 없었다. 결국 CD를 뒤적거려서 집어 넣었는데 그렇다면 대체 언제 마지막으로 들었다는 걸까...를 생각해 봤지만 기억에 없음. 뉴 오더 Power, Corruption And Lies는 그래도 종종 들었는데 조이 디비전은 왜 그랬을까. 이안 커티스 좋은데.

 

4. Bonobo의 Dial 'M' for Monkey와 Black Sands

사이먼 그린의 프로젝트인 보노보는 애니멀 매직의 기억이 괜찮았기 때문에 기대를 했는데 크게 인상적이진 않다. 둘 중에서는 몽키가 좀 낫다.

 

5. Rei Hamasaki의 Lust와 와스레모노

예전에는 그냥 저냥 들었던 거 같은데 요즘엔 이어폰으로 들으면 좀 답답하다. 적어도 괜찮은 수준의 헤드폰 정도는 있어야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