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주가 고립된 지 3일인가 만에 오후에 풀린다고 한다. 뭐 물자 부족이 바로 떠올랐는데 그건 어쩔 수 없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그런 일이 있을 곳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동생이 제주 생활 몇 년 째인데 눈 오는 것도 처음 봤다고 함... 여튼 고립될 곳이 아니었기에 준비를 할 필요성을 못 느꼈을 테고 이번 사건으로 준비가 갖춰지지 않을까 싶다. 울릉도의 경우 교통이 끊긴 지 8일 째인데 오늘에서야 신선 식품을 중심으로 물자 부족 문제가 떠오르고 있다. 뉴스에 의하면 3, 4일 정도로는 아무 문제 없었음.
이 문제는 물자 부족과 다른 방면으로 문제점을 보여준다. 제주 공항 3일 고립으로 수요가 폭증했지만 공급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물가 폭등은 당연한 현상이다. 이건 뭐 막으면 좋겠지만 완전히 막는 건 불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당연히 제주시는 재난 상황을 선포하고 무슨 조치를 취해야 되는 게 아니었을까. 방학 중이니 빈 학교든 대형 천막을 치든 거기에 임시 수용하고 우선적으로 길을 뚫어서 수송을 하고 그러는 방법 밖에 없다.
천재 지변이라고 공항에 다 내버려두고 공항이 알아서 하겠지, 비행사가 알아서 하겠지 하고 내비두니 그 모양이 되는 건 당연하다. 그냥 비지니스 시티면 그것도 그려려니 하겠지만 관광으로 먹고 사는 동네 아닌가. 선진국은 시스템이라고 흔히 말하는데 어디든 가만히 두면 시끄러운 놈이 하나 더 가져가는 무법 천지가 된다. 그런 순간에 질서를 주는 건 훈련에 의해 다져진 공적인 조치 밖에 없다. 위의 물가 폭등 문제도 지나친 바가지 신고 콜센터라도 돌리고 과태료를 물리는 게 맞는 방법이다. 선의에 호소하고... 이런 거 있으면 좋지만 기본적으로 없다고 가정하고 일을 꾸려야 한다.
여튼 동생네 집도 고립되어서 - 제주는 도시 가스가 없어서 배달을 시켜야 하는데 차가 안 다님, 전기 끊김 - 여러 문제를 겪고 있는 듯 하다. 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다.
2. 여자친구가 컴백을 했다. 쇼와 청춘 드라마의 냄새... 나름 흥미로운데 뮤비는 보기가 약간 힘들다.
3. 너무 추워서 며칠을 괴로웠다. 그러니까 토요일 오후 쯤 몸에 추위가 스며들었고 그게 계속되다가 월요일 아침에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아주 깊은 곳까지 냉기가 고착되었다. 그 정도 되면 뭘 어떻게 해도 추위가 가시질 않는다. 온천이나 찜질방 여튼 뜨거운 곳에서 다리 뼈 중심까지 달구는 수 밖에 없다... 다행히 월요일 오후 추위가 좀 가시기 시작했고 난방 아래서 몇 시간 있었더니 졸리긴 해도 냉기는 좀 사라졌다.
20160125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
-
오래간 만에 영화 칼리골라(1979, 예전엔 칼리귤라라고 했던 거 같은데 검색해 보니 요새는 칼리골라라고 하는 듯... 이태리 제목은 Caligola, 영어 제목은 Caligula다)를 봤다. 봐야지 하고 찾아본 건 아니고 유튜브 뒤적거리는 데 풀버전...
-
1. 세브란스 시즌 2 2회가 나왔다. 헬레나는 마크 S를 복귀시키는 걸 중요하게 여긴다면서 그 이유는 콜드 하버를 위해서라고 말한다. 시즌 2 1회에서 동료를 다시 맞이한 마크 S가 작업하던 파일이 COLD HARBOUR였다. 68% 완료중. 시즌 ...
-
전통 가옥, 특히 목조 건물의 지붕 양식으로 여러가지가 있다. 국사 교과서에도 나온다. 대표적으로 많이 볼 수 있는게 팔작 지붕과 맞배 지붕이다. 맞배 지붕은 그림만 봐도 알 수 있다시피 가장 심플한 구조라 조금 옛날 건물들, 특히 고려시대 이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