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15

과거의 극복

이거(링크) 읽고 생각난 김에. 2008년 시위는 사회적으로도, 개인적으로도 여러모로 복잡한 생각할 거리를 남겨놨다. 그리고 사실 그 대부분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고 그 실패의 잔해들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당시 가장 강하게 고심했던 건 대체 이 시위대는 청와대에 왜 가려고 하는가, 뭔가 들을 생각이 전혀 없는 정부도 있구나 이렇게 두 가지다. 이 문제 역시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시위대는 왜 청와대에 가려고 했을까. 물론 청와대 앞을 굳이 못 오게 하는 정부라는 것도 쓰잘데없고 이상하긴 매 한 가지 지만 그렇게 오지 마라는 데 여러가지 손실(내부의 분열, 다함께, 흩어진 시위대의 형해화 등등)을 감수하며 가는 것도 이해가 안 가긴 마찬가지다. 게다가 당시 시위대는 일종의 조직 같은 것도 존재하지 않았다. 

시위는 뭔가 얻기 위해서 하는 거고(혁명이 아니다) 그 목적을 위해서는 조직이 있고 전달의 창구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정부도 정부의 존재 기반인 시민의 시위고 뭔가 들어야 한다. 제대로 된 정부라면 부끄러워하는 대통령이 나서지 않더라도 누군가 대변인이 나와 대화의 창을 열어야 됐다. 하지만 그런 건 이뤄지지 않았고, 사실 요구하는 쪽도 창구가 없으니 그런 걸 전달할 방법도 없었다.

시위를 하는 쪽이나 막는 쪽이나 여러모로 어설프긴 마찬가지였다. 그래도 뭐 돌아가는 꼴을 보니 뭐라도 해야겠다 하고 길거리에 나온 시민들은 당연한 일을 한 거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다른 여러가지 시위들에서 같은 행동이 반복되었다. 모이고, 어딘가 가려고 하고, 막히고. 조직이나 지도부는 예전 가투 때 기억이 나서 싫고. 평화로운 행동을 하는 자부심 뭐 이런 걸 챙기려고 했지만 곰곰이 파고 들면 그렇지도 않았다. 역시 그렇다고 공권력의 지나친 방어가 정당화 되는 건 아니다. 

여하튼 문제는 이 비효율적인 방식이 그 이후 다른 개선책을 찾지 못한 채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도 민주주의 사회에서 좀 부끄러운 일이지만 대정부 시위를 몇 명 이상이 하면 무조건 정부 대표가 나와 들어야 한다는 법이라도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리고 혹시나 만약 그 시위가 전복 - 새 정부 수립이 목적이었다면, 불가능했겠지만 여하튼 그게 됐다면, 그 다음도 무주 공산이었다. 혹시나 대통령이 아 시끄러 나 안해 그래버리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곰곰이 생각해 봤던 기억이 있다... 뭐 알 길이 없고 방법도 없지. 어차피 0쩜 대 확률의 세계인데 결국 군사 쿠테타 같은 게 나지 않았을까?

어쨌든 2008년 이후로 이익이 걸려 있지 않은 대의적인 대규모 시위라는 건 대체로 실패한다, 듣는 사람이 없으니 그냥 우리의 뜻만 우리끼리 확인하는 절차다 정도 말고는 남는 게 없다. 그리고 유동층 - 비관적으로 관조하는 사람들은 투표나 시위나 겹치지 않을까 - 으로 부터 계속 멀어졌고, 그런 게 냉소 계층을 만들어 냈다...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예컨대 일베의 탄생 - 2011년 - 도 직접적이진 않을 지라도 분명 이런 흐름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냉소는 점점 더 커지고 있어서 심지어 세월호 같은 사건에서도 어차피 안될 거 시끄럽게나 하지마 라는 기류가 나오게 되었다. 

사실 이런 건 남의 말 들을 생각이 없는 정부의 치밀한 계략 및 승리라는 의심이 들기도 한다. 그렇게 치밀할까 싶긴 한데 박정희 정부 때 비슷한 걸 했다는 사실을 기억해 보면 - 위협 통치의 기본은 서로 싸우게 만드는 거다. 노조가 문제면 공권력으로 탄압을 하는 거 보다 구사대에 장기 취업을 약속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다, 이건 아주 옛날부터 세계적으로 내려와 확립된 전통... 그럴 수도 있었겠다 싶다.

어쨌든 성공한 기억의 부재는 냉소를 만든다. 그걸 가만히 두면 괴물이 될 수도 있다. 사람만 말하는 게 아니라 정부도 마찬가지다. 국회의원 선거 나와서 개발도상국 가서 한 달만 살아봐 따위의 말을 하는 사람이 그렇게 탄생한다. 시민도 정부도 대화의 방식을 모르고 알 생각도 없다. 심지어 시민끼리도, 정부 조직끼리도 마찬가지다. 대화를 안 하니 주고 받는 딜도 없다. 소통하자고 하면 서로 자기 한탄만 한다. 심지어 사측, 정부측도 마찬가지다. 그러니 이게 아니면 모두 잃는다는 생각을 모두가 다 한다. 

역시 시위대가 몇 명 이상으로 구성되면 반대측에 강제적으로 협상 창구를 열게 하는 규칙 같은 거라도 있어야 하는 걸까. 정부 공인 니고시에이터도 반드시 끼고. 창조 경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