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625

최후의 끽연자를 읽다

츠츠이 야스타카(쓰쓰이 야스타카)의 '최후의 끽연자'를 읽다. 순전히 제목 때문이다. 단편선집이고 번역본은 2008년에 나왔다. 원래 단편들은 '최후의 끽연자'만 1987년작이고 나머지는 1970년대 작품이다.

특유의 오두방정이라할까 그런 건 여전하다. 단편이라 꾸역꾸역 밀고 나아가기 보다는 순간의 상상력에 의존한 게 약간 아쉬웠지만 단편선집을 붙들고 할 소리는 아니다.


'야마자키' 중간에 이렇게 스무스하게 넘어가는 장면이 있는데 이런 거 약간 좋아한다. 뮤지컬은 너무 화려하고 스펙타클해서 많이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영화용 뮤지컬이나 예능에서 뜬금없이 뮤지컬이 나오는 장면은 꽤 좋아한다. 일상->비일상으로 넘어가는 순간 주변 공기에 드리워지는 약간의 어색함과 주연 배우들의 천연덕스러움은 언제봐도 두근거린다. 

책의 경우엔 주변의 모습을 동시에 재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만큼 도드라지진 않지만 그래도 이렇게 천연덕스럽게 넘어갈 때는 역시 흥겹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시즌, 반대, 별로

1. 벚꽃 시즌이다. 작년에도 그랬던 거 같은데 요새 벚꽃 시즌에는 비가 꽤 내린다. 오늘은 황사 미세먼지 비가 내릴 예정. 2. 다음 정권 때는 어쨌든 개헌 여부가 투표에 붙여질 거 같다. 이게 삼권 분립에 기반한 제도 민주주의의 딜레마? 문제점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