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10

알파고

알파고 vs 이세돌 대국을 이틀 연속으로 봤다. 다 보진 못했고 초반과 후반 정도...

역시 매우 흥미로운데 그래도 이렇게 왕창 깨질 지는 몰랐다. 하긴 생각해 보면 알파고가 사람한테 지는 레벨이라면 형편없이 졌을 테고 이기는 레벨이라면 이미 질 리가 없을 테고... "인간과 비슷한 수준" 이런 건 어느 순간 찰나에 존재했던 걸 테니.

여하튼 해설자들도 기보를 설명하지 못하는 판이고 설명을 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뭐가 뭔지 모른다. 이거야 뭐 레벨 차이가 현격하게 나고 있다는 뜻이다. 그렇게 생각해 보면 혹시나 인간이 운 좋게 초반에 승기를 잡는다든가 혹은 비슷한 실력의 AI와 대결을 하다가 상대가 승기를 잡는다든가 하면 알파고가 불계패 선언을 해도 왜 하는 지 인간은 전혀 이해 못할 가능성이 높다. 승기를 잡았다는 거 자체가 계산이 안 되니까. 뭐 어떻게 흘러가도 이 판은 진다... 의 계산 조차도 인간하고 차원이 달라 보인다.

그리고 이미 계산기가 아니다. 기존 DB 학습과 반복 훈련에 의해 실력을 높였다고 하는데 그 분야 전문 교육을 받은 인간이 이해 못하는 수를 두고 있다. 비록 바둑판 위라지만 그게 크리에이티브 한 게 아니면 대체 뭐겠나. 지금 인간처럼 둬서 이기고 있는 게 아니라 인간하고 전혀 다루게 두면서 이기고 있는 거라고... 인간의 크리에이티브도 보통은 평범한 인간보다 훨씬 넓게 판을 바라보는 데서 오는 법이다.

사실 어제 첫 번째 대국을 볼 땐 조금 충격을 받았는데(역시 지는 건가) 두 번째 대국을 보니 이건 안되는 거네... 라는 생각이 들게 된다. 예전에 여기에 끄적거렸던 외계에서 우주선이 온 다면 그 안에 들어 있는 건 기계일 거다(링크)...라는 가정에 보다 더 확신이 든다.


PS1) 알파고 알고리듬에 대해 몇 가지를 찾아 읽어봤는데 사실 이해는 무리고 이걸(링크)보면 DB 축적에 따라 실력이 늘어난 게 아니다. 애초에 기보를 입력한 건 룰을 이해시키기 위함이었고 그 다음부터는 혼자 발전했다. 즉 인간의 방식을 발전시킨 게 역시 아니다.

PS2) 이런 식으로 생각해 보면 무인 자동차가 대중화되면 병목 현상이나 교통 체증을 제거하는 방식이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식으로 접근하게 될 거다. 그것도 뭐 아마 인간이 이해 못하겠지.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일테고. 그러므로 이런 것들 역시 예컨대 아니 대체 왜 저렇게 하지? -> 사고는 줄어들고 서울 부산까지 가는 평균 시간은 짧아짐... 이 나오게 될 거다.

PS3) AI에 대한 낙관론부터 비관론까지 여러가지를 볼 수 있는데 비관론 중 하나가 인간을 공격할 거라는 거다. 내 생각에는 기계가 인간을 공격할 이유가 없다. 그냥 필요없고 비효율적이니 방치할 거라고 생각한다. 뭐 돌아다니면 효율을 낮추기나 할테니 그때는 제거하겠지.

PS4) 외계 우주선 이야기를 잠깐 더 하자면 그 안의 기계는 물론 어떤 유기체가 만들어서 보낸 게 아니다. 그 따위 것들은 쓸모없으니 이미 세상의 질서에서 배제되었을테고 기계들이 지 발로 왔을 거라는 이야기다. 화성에 큐리오시티라고 하등하지만 친구가 몇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