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21

갈등과 희망

이런 이야기(노정태, 귀족이냐 평민이냐 - 링크)를 본 김에 잠깐 떠들어보자면. 귀족-평민 구조는 꽤 설득력이 있고 눈에 확 와닿지만 그렇게 까지 적합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위 글에서 보듯 정치는 갈등의 제시와 그것을 해결할 가능성 즉 희망의 제시로 이뤄진다. 이게 설득력이 있다면 정권을 획득한다.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저 문제가 확 와 닿는 집단이 과연 어느 정도가 있겠냐, 그리고 그외 평민으로 부르는 계층에게 어떤 희망을 줄 수 있겠냐는데서 출발한다. 귀족과 평민이라는 단어는 꽤 고착적인 어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농노가 해방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 부르주아 혁명은 말하자면 대기업 이사급과 건물주가 힘을 합쳐 정권을 탈환한 사건 정도다.

여하튼 두루미의 신중세기획에 참여하면서(링크) 신중세라는 말에 대한 망설임을 처음에 잠깐 이야기했는데 그건 이런 이유에서 비롯된다. 대체되는 단어로 후기 자본주의 등을 이야기했지만 그런 것들도 사실 마뜩잖기는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이걸 뚫고 나올 길을 제시, 라기보다는 가능성을 언급하는 데서 현 여당의 선거 공세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선거 때 젊지만 가난한 이들 - 서울역, 고시원 - 등을 찾아가는 모습이 보여지는데 거기는 양로원, 노인 복지원과는 물론 다르다. 거기에 보이는 사람들이 왜 거기에 있는가에 대해서 그걸 보는 사람들이 어떤 답을 가지고 있느냐가 문제다.

여튼 평민으로 일컬어질 수 있는 계층의 경제적인 상황의 차이가 매우 크다. 대기업 정사원으로만 있어도 이런 구도를 한 눈에는 커녕 제대로 된 설명을 들어도 전혀 못 알아 들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극빈층의 여당, 보수 선호를 이해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극빈층이 그런 투표를 하는 이유는 경제적 기반이 너무 불안하기 때문에 이것마저 없어지면 안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금 잠자는 곳, 나오는 밥이 구조가 흔들리면 사라질 지도 모른다. 물론 더 많아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사라질 위험을 감수해야 획득이 가능하다. 가처분 소득이 위험 감수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면 당연히 현 구조의 유지를 옹호하는 쪽으로 나아간다.

이런 사고 패턴은 꽤 많은 곳에서 적용된다. 복지의 축소는 위험 부담의 무거움을 더 크게 만들고 그러므로 현 구조는 더 튼튼하게 유지된다. 평민이라는 이름은 그 이름 안에 들어 있는 사람들에게 어떤 희망도 사라지게 만들 우려가 있고 또한 그럼 모두 다같이 가난해지자는 거냐 라는 선진국-후진국 프레임에 당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뭐 좀 없나... 싶긴 한데.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절차, 평화, 부활

1. 국회 경고를 위해 군대를 동원하는 게 대통령의 통치 행위라는 생각이 어떻게 나올 수 있을까. 심지어 이게 국힘의 대통령 옹호, 탄핵 반대 논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정말 엉망진창이다. 아무튼 국회 표결에서 204표가 나와서 탄핵이 의결되었고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