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9

심도, 문제, 목표

1. 사이비 종교, 팬덤, 맹목적 추종 이런 것들에 대한 더욱 심도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예전부터 강력한 형태이긴 했지만 그래도 군집 형태로 존재했기 때문에 영향은 한정적이었다. 큰 문제가 된 사례라면 파시즘이나 나치즘 정도였던 거 같다. 하지만 유튜브와 SNS 시대에 이것들은 새로운 영향력을 얻고 있고 이런 걸 이용하는 자들도 너무 많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지하철에서 윤석렬 석방을 외치는 사람을 심심찮게 보는데 예전에 교회 안 가면 지옥 간다를 외치는 분들과 행동 양태가 똑같다. 그냥 이상한 놈들, 이해가 안 가는 놈들이라고 치부하고 방치하기에 이런 것들이 만들어 내는 문제가 너무 커지고 있다. 왜 이런 비이성적 행태에 몰두하는지, 왜 인생을 투신하는지, 왜 자신의 가난을 타인의 부에 부여하는지, 왜 자진해서 싸우는지 등등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이런 문제가 확대되지 않도록 하고 분쇄하기 위한 실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2. 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구속보다 법원 습격 및 파괴가 더 큰 문제가 아닌가 생각한다.


3. 대통령이 죄수복을 입은 거, 구치소에서 뭐 먹는지, 어떤 대우를 받는지, 머그샷이 어떤지, 지난 비이성적 행태에 대한 조소 이런 거 아무 관심 없다. 굳이 보여줄 필요가 있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 뭔가 이상한 사람들은 얼마든지 있다. 법적 테두리 안에 있다면 그조차 인간으로 가지는 권리다. 사회 구조를 파괴하려 할 때, 그게 유력한 권위자가 일으켰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므로 뉴스 보도의 목표는 복수극이나 희화화를 통한 웃음거리 제공이 아니라 헌법적 질서가 무엇이고 그걸 바로 잡는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느냐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