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17

걸 그룹의 무엇을 보는가

걸 그룹의 무엇을 보고 있느냐에 대해 그다지 자세히 정리해 보고 있지 않다가 누가 이야기를 꺼내길래 한 번 써본다. 말하자면 "바라는" 거고, 그 기준에서 신곡과 그룹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는 거다.

우선은 기분 좋게 들을 수 있는 음악. 들으면 기분 전환도 되고 기운도 나는 그런 노래들이 좋다. 이건 뭐 워낙에 주관적이라 딱히 할 말이 없는데 종종 이 노래 좋은데... 라고 여기에 적거나 하는 건 그런 종류다.

그리고 또 하나는... 대부분 여기에 기반해 각각의 걸 그룹에 대해 생각하는데 여튼 1등이 되면 좋겠다. 그 분들이 음원 순위든, 음반 순위든, 음방 순위든 모두를 무찌르고 단 한 순간이라도 꼭대기에 서보는 걸 응원한다. 여하튼 이 열심히 사는 여자들이 모두를 이기고 1등을 하는 걸 보고 싶다.

물론 걸 그룹 및 거기서 나오는 유닛, 솔로 모두... 라는 건 모순이 있긴 하지만 어쨌든 그렇다. 1등 만이 모든 게 아니라는 것도 물론 맞고 저 위에 기분 좋게 들을 수 있는 음악은 1등이랑 아무런 상관도 없다. 하지만 어차피 이 분들 대부분 수많은 시련을 이겨내며 메이저 엔터테인먼트 계에 들어선 거고 이왕 들어섰으니 1등을 해보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따지고 보면 멜론 실시간 1등은 1시간에 한 번씩 집계가 나오니까 1년에 365X24번이 있고 음방은 일주일에 5개인가 그렇게 계속 있고, 음판은 하루 집계로 365번이 있고 등등이니까 결국 1년에 약 1만 번 정도의 1등 타이틀이 있는데 물론 그렇다고 쉽게 오르긴 어렵다.

예를 들어 러블리즈는 2014년 11월 데뷔 이후 1년 반 정도의 활동 기간 동안 1만 5천 번 정도의 타이틀 매치가 있었지만 아직 꼭대기에 오른 건 하나도 없다. 레인보우는 2011년 To Me 활동 때 멜론 실시간 1위를 한 적이 있긴 있다.

꽤나 멋진 걸 하든, 꽤나 한심한 걸 하든, 청순을 하든, 섹시를 하든 그 그룹이 무슨 수로 생존을 영위하고 어떤 팬층을 기반으로 1위를 노리는 지 파악해 보고, 그 기준으로 뭐가 부족해서 못하는 걸까 아니면 저 길은 암만 봐도 길이 없으니 빨리 바꿔야 하지 않을까 등등으로 생각해 보는 식이다. 뭐 1등 그룹만 좋아하는 것도 아니고 컴백 음반 내자마자 멜론 차트 광탈하는 걸 그룹 같은 경우엔 자리를 잡고, 순위를 올리고, 1위에 오르기까지 더 생각해 볼 게 많다. 그리고 이제 어지간하면 1등을 찍게 된 그룹은 저렇게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왕이면 더 멋진 거 하지...하는 아쉬움이 들 때가 많으니까 또 생각해 볼 게 많다.

예전엔 예능이 중심이었는데 약간 바뀌어 이렇게 되었다. 예능의 경우에도 얕지만 넓은 인지도를 만들 수 있고 종종 덕통 사태를 불러일으켜 열혈 팬덤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 모든 게 1위에 오르는 데 도움이 된다. 물론 뭐 예능 감각이 있는 분들이라면 말할 것도 없이 최고로 좋다.

뭐 왜 이렇게 보고 있는 건지 잘 모르겠지만 여튼 이 분들이 어디서든 이왕이면 1등을 했으면 좋겠다. 그런 걸 기반으로 만빵의 힘을 가지고 자기들 하고 싶은 거 신나게 하면 좋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