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14

레드 윙 포터리

레드 윙 부츠 이야기 아니고 포터리 이야기. 미네소타에 있는 레드 윙이라는 마을은 인구가 1만 6천명 정도 되는 작은 도시다. 1800년대 말에는 밀 농사로 꽤 잘 나가는 곳이었다고 하는데 요새는 그냥 미시시피 강이 옆에 흐르는 작은 마을... 서울의 동 하나가 2만 명이 넘는 곳이 많다. 미시시피 강 하면 남부의 옥수수 밭이 생각나는데 이 강이 워낙에 길어서 꽤 북쪽에도 흐른다.

레드 윙은 레드 윙 부츠가 유명하고 그 외에도 리델이라는 롤러 스케이트를 만드는 곳이 있다. 그리고 레드 윙 포터리가 있다. 인구가 저거 밖에 안되는데 전국구, 그걸 넘어 글로벌 급 명성을 가진 회사가 몇 개나 있다. 찾아보니 스타벅스는 없고 카리부 커피가 꽤 큰 게 있다.

미국에 도자기 줄기가 어떻게 흘러왔는지 잘 모르는데 여튼 1700년대 부터 스톤웨어 포터리라는 게 펜실베니아와 요크 타운 등에서 시작되었다. 간단히 정리하면 스톤웨어는 여러 가지 종류의 점토를 반죽·성형하여 높은 온도에서 굽고 유약을 사용하지 않은 불투명한 도자기를 말하고 솔트 글레이즈드는 소금을 넣어서 표면을 반짝반짝하게 만든 걸 말한다.

여튼 레드 윙 포터리는 1861년 독일에서 이민 온 존 폴이라는 사람이 시작했다. 독일에서 도자기 만드는 법을 배웠다고 한다. 이 분은 짧게 있었고 몇 번 주인이 바뀌다가 1880년대 들어서 솔트 글레이즈드 스톤웨어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 이후 계속 이리 저리 넘어가고 그 와중에 레드 윙의 도자기 사업도 꽤 커지기도 하다가 지금은 레드 윙 포터리로 명맥을 유지해 가는 거 같다.


대표적인 제품은 이거다. 크록이라고 하는 구식 그릇.


좀 예뻐 보이는 건 이거다.


제작은 레드 윙 포터리에서 했는데 세인트 폴에 있는 제이콥 esch에서 판매했나 보다. 가게 이름인가? 뭐 그런 건 모르겠고 아래는 솔트 글레이즈드 스톤웨어고 윗 부분 뚜껑의 반짝임은 아래와 다른데 저건 알바니 슬립 글레이즈라고 한다. 알바니 슬립도 반짝거리게 하는 기법인가 보다.



맨 위 둘은 살면서 볼 일이 있을까 싶은 종류지만 이건 좀 가능성도 있고 관심도 간다. 솔트 글레이즈드 스톤웨어 머그다. 정말... 무식하게 생겼다고 할까... 이 심플함이 실로 아메리칸 스타일이다. 별로 비싸진 않은데(저거랑 조금 다르게 생긴 머그가 컵 둘에 커피 두 봉지 세트로 30불 정도다) 도자기류라 역시 배달이 좀 복잡하다. 미국 내만 배달이 되는데 꽤 비싸고(20불 가량) 가능하면 와서 받아가라고 한다. 배송 대행을 하면 과연 잘 올까 싶다... 지나가는 길에 레드 윙에 들러서 하나 사오는 게 제일 괜찮은 방법이긴 한데... -_- 전자 렌지 등 사용에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한다.

예전에 어느 자치구 시장이랑 인터뷰를 한 다음에 선물로 머그 세트를 받은 적이 있다. 뭔가 투박하게 생긴 게 마음에 들어서 오랫동안 잘 썼는데 아쉽게 깨졌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게 스톤웨어였다. 반짝거리는 게 솔트 글레이즈드 였는지는 잘 모르겠다. 르 쿠르제 머그도 스톤웨어다. 뭐 여튼 이런 것도 있다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