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24

벌새

벌새를 봤다. 이 영화는, 특히 한국에서 이런 류의 영화가 가지는 모든 문제점들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 예컨대 특수성에 기반한 성장 드라마의 보편화, 하필 중2, 은마 아파트와 대청 중학교, 90년대 중반, 오랫동안 생각해 온 장편 데뷔작, 커다란 몇 개의 사고들. 게다가 이 자전적 드라마는 가지고 있는 트라우마를 그렇게 극복한 것으로 보이지도 않는다.

지나치게 자전적이라 팩트와 픽션이 교묘하게 섞여 있다. 누군가는 화면을 보다가 기억 속에서 뭔가를 끄집어 낼 수 있을테고 아주 강한 동질감을 가지게 될 거다. 이런 건 최근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주 볼 수 있기도 하다. 나이야 어떻든 비슷한 지형 지물을 돌아다니던 사람들이 문화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신을 치유하고 극복하는 영화는 만들 수 있다. 그렇지만 놀라운 점은 이게 상영 시간이 139분이나 된다는 거다. 괴상하게 놀라운 부분은 몇 군데가 더 있는데 예를 들어 한문 선생이 갑자기 부르는 노래 잘린 손가락으로 마음의 상처와 균열을 치유하는 여중생들이다.

이런 영화에 대고 그때부터 25년이 지난 지금 은마 아파트 가격은 1000%가 올랐다지 방앗간집 아저씨는 건물주가 되었겠네, 같은 이야기는 별로 소용이 없다. 그런 거야 은희는 모르는 사정이고 - 그렇기 때문에 90년대 대치동의 중2가 주인공인 영화는 한국에서 필연적으로 비겁해진다 - 각종 사회적 문제들은 스치듯 지나간다.

그래도 괜찮다. 바깥에서 오는 것들은 이 아파트 단지가 이미 막아주고 있다. 상처들은 오직 가족 내부와 친구와 후배, 남친, 학원 선생 같은 직접적 관계들 사이에서만 온다. 그렇기 때문에 그게 전부여도 상관이 없고 사실 한국 사회에서 지금 이 순간까지 저기서 중학생 시절을 보냈다면 그 이후 무슨 특별한 일이 생기지 않은 한 이런 부분을 극복할 이유도, 필요도 별로 없다.

이건 요 몇 년 간 잘 이해할 수 없는 것 중 하나인 일부 90년대 아파트 키드들의 낡고 예쁜 아파트 감상화를 이해해 볼 수 있는 길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한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애틋하고 안타까워 한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그리워한다. 이 영화는 그 낡고 예쁨을 담는 데 아주 많은 걸 할애하고 있다. 물론 이 영화의 장면들은 굉장히 훌륭하다. 그냥 예쁜 데서 멈추지 않고 과연 더 필요한 화면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모든 걸 담아낸다.

어쨌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가 어땠냐고 하면 재미있었다. 그게 우연이든 뭐든 은희 역을 맡은 박지후는 영화를 찍을 때 마침 닥쳤다는 사춘기와 함께 벌새와 하나가 되었고 이 영화 자체가 되었다. 영화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와 모순을 은희는 훌쩍 뛰어 넘어 버렸고 이 작은 영화의 그릇이 지닌 균열을 모두 봉합해 버리고 확 키워버렸다. 그렇기 때문에 억지를 부린다, 무리를 하고 있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그건 그렇고 밥과 전을 아주 잘 먹는 게 꽤 인상적이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