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30

폭염, 납득, 적응

1. 그 많이 내리던 비가 그친 후 폭염이 시작되었다. 작열하는 태양. 덥다...


2. 밀수를 봤다. 전반적으로 대형 프로젝트 느낌이 많이 나기는 한다. 묵직한 등장인물이 꽤 많아서 조합이 중요할 거 같은데 시종일관 오버 액션인 김혜수와 시종일관 어둡고 무거운 염정아의 발란스가 괜찮았던 거 같다. 그렇게 캐릭터가 잡히니 김혜수가 잠깐 심각할 때와 염정아가 잠깐 웃을 때 화면이 환기되는 힘이 생긴다. 그리고 이 거장들의 발란스 사이에서 고민시가 매우 훌륭했다. 능청맞게 너무 잘 함. 

영화에서 약간 의문인 건 해녀와 대결을 할 생각이면 어떻게든 물 바깥으로 끌고 나와야 한다. 물 속에서 승부를 하려고 하다니 아무리 무식해도 그런 계획을 세우냐... 그 점이 약간 납득이 되지 않았다. 아무튼 여름 블록버스터 특유의 의외성, 호쾌함, 속도감 이런 건 약간 부족하지 않나 싶다. 

좋았던 건 배경이 심해니 깊은 바다 속에서 숨막혀서 아슬아슬하고 어쩔 줄 몰라하는 답답한 부분이 분명 있을 거라 생각하고 약간 걱정했는데(그런 서스펜스 좀 싫음) 전혀 없었다. 이렇게 완전히 없다니 오히려 의외였음.


3. 미션 임파서블도 봤고, 마당이 있는 집도 봤고, 쿼터백도 다 봤다. 마당이 있는 집은 보는데 상당히 오래 걸렸는데 뭐가 문제여서 쉽게 다가가기가 어려웠을까 생각해 봤는데 김성오 배우의 목소리와 말투와 정인선 배우가 역을 한 오지랖 옆집 여자의 목소리와 말투에 끝까지 적응을 못한 거 같다. 


4. 여자 월드컵은 진행중이다. 스웨덴도 잘 한다. 정확한 코너킥에 헤딩 조합에 이탈리가가 답을 못 찾았음. 


5. 이해가 잘 안되는 게 이 나라는 가해자와 진상을 둥가둥가해서 보호하려는 생각이 너무 강하다. 형량이 높고 낮고가 문제가 아니다. 말 같지도 않은 소란을 피워도 어이구 둥가둥가, 범죄를 저질러도 어이구 둥가둥가. 더 요란하게 필요한 배제와 단호한 억압으로 더 큰 사회 시스템을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을 안 하는 듯. 덕분에 약자 혹은 양보하는 이들에게는 마냥 취약해진다.


6. ㅈㅎㅁ으로 촉발된 자폐 - 특수 교사 - 학부모 문제는 아주 복잡하다. 자폐 아이와 부모, 자폐 아이와 교육, 특수 교사와 부모, 학교와 치료 등 어느 것 하나 간단히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물론 그의 가족 중심적, 자기 중심적 판단과 결정은 비난을 받을 부분이 있어보이고 게다가 다른 여러 피해를 촉발했기 때문에 만약 문제가 확인이 된다면 책임을 져야 할 거다. 

그렇지만 치매, 자폐 같은 병이 다른 가족을 괴물로 만든다는 이야기를 여전히 흔하게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이런 식으로 괴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왜 그럴까. 아마도 거의 모든 일을 가족의 책임으로 떠넘기는 시스템,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사회적 합의, 가련함 혹은 짜증 같은 양극단의 시선, 그런 문제에 대해 해결 가능성을 찾지 못하고 있는 정치적 문제일 거다. 그 무엇도 제대로 정립되어 있는 게 없고 저게 나아갈 길이다라는 식으로 사람들의 신뢰를 받고 있는 의견도 없다. 

그나마 몇 명 안되는 특수 교사 문제가 잘 해결되면 좋겠고 또 이왕 공론화가 된 기회니까 사회적 해결 방법을 제대로 좀 찾아보려는 여정이라도 시작되었으면 좋겠다. 배워야 할 것, 익숙해져야 할 것, 알아야 할 것 등등이 너무나 많은 부분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