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10

몇 권의 책

1. 중력의 임무를 다 읽었다. SF에 익숙하지 않은 탓도 있고, 이런 식의 '설정' 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탓도 있어서 읽는 게 꽤 힘들었다. 일단 이런 식의 가상 세계 설정이 소설로 유효한지 의문이 생기긴 했는데 이는 더 복잡한 설정도 보다 손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영화의 문법에 익숙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1951년 작이니까 그때라면 훅 빠져들어 읽을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여튼 재밌는 작업 같기는 하다.

2. 옥스퍼드 중국사 수업을 다 읽었다. 중국 역사를 전혀 모르니까 시간이 날 때 상식 선에서 읽어보자...는 생각으로 구입했던 건데 읽다 보니 이 정도 레벨의 중국사는 꽤 알고 있었구나 하는 사실을 깨달았다. 여기에서라면 그냥 살기만 해도 그 정도는 알게 되는 건가... 싶어서 살짝 놀랐다. 그래도 뭐 장점이라면 통사가 나름 잘 정리되어 있는 책이라 죽 보는 거 정도의 의의가 있는 듯하고 단점은 정작 궁금했던 것들 - 1900년대 초부터 1960년대 정도까지의 복잡 미묘함 - 은 이 정도 읽어봐야 여전히 모른다는 것 정도. 자본에 여유가 있다면 저 만한 두께(448페이지)에 100년 정도씩 들어가 있는 전집 같은 게 혹시 있다면 읽어보고 싶긴 하다.

3. 뉴로맨서는 잠잘 때 읽자고 침대 옆에 던져놨다가 생각나면 보곤 했는데 그렇게 읽다보니까 뭐가 뭔지 잘 모르게되서 이번에 시간이 좀 난 김에 주르륵 읽었다. 훌륭하다고 생각하는데 역시 어딘가 짜증나는 구석이 있다는 걸 재확인했다.

4. 확장도시 인천 예전 판을 한 글자 한 글자 다 읽었다. 왜 내가 인천에 대해 이리 자세히 알아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결국 떨치진 못했지만 어차피 이 책의 목적이 인천을 이런 식으로 파악하는 데 있는 거 같진 않고 뭔가를 들여다보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해 보면 재미있었다. 여튼 적어도 나는 이런 방식으로 바라보지 않기 때문에 좀 더 근본적인 회의가 있기는 한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생각해 보기로 하고.

5. 책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2017년 시점에서 바라보자면 분명 어딘가 무식한 양식인데 물리적 존재감 - 블루레이 DVD 케이스와는 다르다 - 과 더불어 아무리 어지러운 이야기가 나와도 두통이 생기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여전히 훌륭하다. 요새 모니터, TV 등등을 열심히 들여다 보면 멀미 증상이 자주 일어나는 문제가 있는데 책에서는 아지까지 별 문제가 없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