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08

자전거를 탄다

죽을 거 같은 더위가 지나간 후 슬슬 자전거를 타고 있다. 아직 구체적인 타임 테이블을 만들지 않아 좀 엉망으로 내키면 나가고, 나가면 아무대나 돌아다니고, 안 내키면 집에서 뒹굴고 그러고 있다. 심지어 앱도 정해지지 않았다.

1-1. Strava는 휴대폰 3G를 꺼놔도 GPS 로그를 기록한다. 배터리가 간당간당할 때 이건 정말 요긴하다. 그리고 어떤 코스의 기록을 볼 수 있다. 사실 큰 의미는 없지만(400명 중에서 대략 280등 정도...) 약간이라도 도전 정신은 생긴다. 또한 지도를 공유했을 때 Private 설정이 가능하다.

단점은 못 생겼고, GPS 편집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강아지랑 산책 이런 거가 섞이면 한 눈에 파악하기가 좀 이상해진다.

1-2. Runkeeper는 지금까지 해왔던 게 다 들어있고, 목표 거리(예를 들어 1달 200km)를 정해 달성도를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깔끔하다. 달리기, 자전거, 걷기, 강아지랑 산책을 각각 알맞게 기록할 수 있고, 목표 달성도도 종목별로 정할 수 있다.

단점은 GPS가 종종 튄다. Strava에서는 로그 간격 설정(예를 들어 10초에 한 번)이 가능하지만 Runkeeper는 그런 거 없다. 하지만 간단하게 튄 부분을 지우거나 옮길 수 있다. 3G가 꺼지면 아무 것도 기록하지 않는다. 이 말은 데이터를 사용한 다는 뜻이고, 배터리를 더 많이 쓴다는 뜻이다.

1-3. Sports-Tracker는 예전 노키아 사용할 때 부터 써서 익숙하다. 데이터 정리가 깔끔하고 보기가 쉬워서 여기에 모든 걸 넣어두고 싶은 욕구가 있기는 한데 불편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Private 설정 같은 건 엉망이다. 지도를 Private으로 감춰놔도 링크로 들어가면 다 보여서 집이 어딘 지도 찾을 수 있다.

사실 자전거 타는 게 운동으로 성립하긴 하는지 최근 약간 의심이 있다. 군대 시절 행군이나 각개 전투 이런 거랑 느낌이 비슷하다. 즉 체력을 기르는 게 아니라 있는 체력을 어떻게 하면 끝까지 다 쓸 수 있느냐를 배우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며칠 쉬다 나가면 모든 게 리셋되어 있어서 금방 지친다. 이런 정신력에 기대는 체육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업힐, 일정한 코스 타임 어택이 아니고 그냥 돌아다니는 건 조깅 만 못한 거 같다.

map

최근 눈여겨 보는 코스는 이거다. 한바퀴 돌면 20km 쯤이고 한 시간이 걸린다. 중간까지는 살짝 내리막, 나머지 반은 살짝 오르막. 안 좋은 점은 우이천 끝나는 곳에서 청계천을 따라 올라가 용두동에서 정릉천으로 들어가야 되는데 여기서 자전거 길을 나와 사거리 신호를 기다려야 한다. 여기 밤에 가보면 자전거가 꽤 많아서 약간 난리다.

로드가 좋다 하지만 MTB가 더 땡긴다. 역시 바퀴 부러저라 하면서 아무대나 막 다니고, 내키면 산 같올라가고 시골길 뒤적거리는 걸 내가 좀 좋아하긴 하나보다. 지금 자전거는 막 몰기엔 애가 많이 약하다 ㅜ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