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423

크리에이티브 이코노미

창조 경제가 뭔지는 물론 잘 모르지만 대충 보아하니 통합, 융합에 의한 새로운 가치 창조 뭐 이런 걸 말하는 것 같다. 이 개념이 포섭하는 범위는 당연히 무지하게 넓을 수 밖에 없고 그러한 이유로 잘 되면 창조 경제, 안 되면 창조 경제가 아니어서.. 이런 식으로 흘러갈 거 같기는 하다만. 여하튼 예전에 나왔던 다양한 산업 클러스터 형성이라든가 하는 것과 기본적인 면에서 비슷한데 다른 포인트가 뭔지 약간 궁금하다.

 

사실 이 이야기가 아니고 '창조'의 측면인데. 많은 이들이 공무원 조직으로 대표되는 국가의 창조성을 언급하는데 그에 대해서 간단하게 :

사실 창조적이라는 건 세상에 없던(혹은 묻혀 있던) 무언가를 끌어내 보는 일이다. 이 말은 잘 풀리면 좋겠지만 실패의 가능성이 엄청나게 높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100개 중에 10개 정도 성공한다고 치면(이것도 상당히 높게 잡은 게 아닐까 싶은데) 90개는 실패한다.

문제는 실패한 90개에도 아마도 비슷한 예산(세금에서 나온다)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매년 각 조직의 예산과 결산이 공개되는 상황에서 '창조'적 마인드를 발휘해보려고 했어요 같은 변명이 통할 지, 그런 걸 시민들이 용납할 지 의문이다. 혹시나 '진정성'이 발휘된 90번의 실패가 있었다고 해도 대번 OO부의 예산 낭비라고 신문에 걸릴 테고 시민들은 비슷한 성토를 해댈 것이다.

결국 성공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 이 말은 '지금까지 해 왔던'과 같은 의미다 - 사업을 추진할 수 밖에 없고 그러므로 창조 같은 건 나올 가능성이 없다. 종종 어떤 사업의 성공이 언론을 타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매우 소소한 것들이다. 실패해도 티도 안 나는 범위에서 할 수 밖에 없다.

이런 건 국가 뿐만 아니라 대규모 기업, 특히 주주가 존재하는 회사들도 (상황이 조금은 낫겠지만)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경우 당장 눈 앞의 시총과 주식 상승률에 목을 멜 수 밖에 없고 그러므로 큰 규모의 창조적 대쉬는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세상에는 창조가 있을 수 없냐 하면 그건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런 건 때로는 말 같지도 않아 보이는 중소기업의 출발과 함께 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도 각양각색의 아이디어 100개에 의해 만들어진 100개의 회사가 출발하겠지만 몇 년 지나면 살아 남는 건 서넛 뿐이다.

긍정적인 순환을 생각한다면 여기에서 검증된 아이디어가 더 큰 회사, 조직에서 나중에 활용될 것이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수많은 중소 기업의 실패에 사회 발전은 빚을 지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의 중소 기업 지원 정책은 이런 점에서 합당화될 수 있다.

여기에도 문제가 있다. 정부가 중소 기업 지원을 시작하면 풀리는 돈을 보고 수많은 사기꾼들이 모여든다. 적절한 분배에는 조사나 검증 등의 비용이 너무나 많이 들고, 그렇다고 그냥 막 뿌리면 도둑놈들이 다 들고 간다. 사실 이 방면에서 세금의 손해는 어쩔 수 없다. 지나친 규정은 또한 발랄하나 실상은 유용한 아이디어를 막는다.

 

결국 날리는 돈과 혹시 유용한 곳에 들어가 유용한 것을 해내서 생기는 돈 사이의 이익 비교로 방식을 결정할 수 밖에 없다. 사실 엉뚱한 놈이 들고 가도, 어느 정도는 어쩔 수 없다. 이런 점의 용인은 시민들 사이의 컨센서스 형성 외에는 답이 없다. 물론 이렇게 까지만 루틴이 돌아간다고 해도 매우 이상적으로 풀리는 거다.

여하튼 하고 싶은 말은 창조적 마인드의 발휘는 정부가 직접 할 일이 아니고 제대로 된 중소 기업 지원 정책으로 풀어야 하지 않나 하는 거다. '제대로 된' 이라는 게 무척이나 어렵긴 하지만 스크린 골프와 내비게이션 이야기하는 것보다는 훨씬 나을 거 같은데.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두통, 공습, 직감

1. 주말에 날씨가 무척 더웠는데 월요일이 되니 비가 내린다. 날씨가 종잡을 수가 없어. 오늘은 왠지 머리가 아파서 집에서 일하는 중. 하지만 졸리다. 2.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이 있었다. 드론과 미사일을 상당히 많이 날렸고 대부분 요격되었다. 돌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