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9

문화, 예술, 루틴

1. 이럴 때일 수록 문화와 예술을 가까이 두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나치게 함몰되고 낙담하게 된다. 사회와 정치란 아주 긴 여정이다.


2. 뭐 그런 연유는 아닌데 서울국제안무페스티벌 2024가 한다는 걸 우연히 알게 된 김에 일요일 공연을 보고 왔다. 시너지라는 부문으로 국내외 아티스트의 협업과 교류를 통한 창작 프로그램이다. 90분 정도 공연으로 3팀이 나왔다.

사실 choreography와 contemporary dance, 무용 등 용어의 정확한 구분도 잘 모르는 사람이지만 예전에 서울세계무용축제 공연 몇 편을 우연히 보고 이게 꽤 흥미롭고 재미있다는 정도 생각만 하고 있는 정도다. 안무는 몸 동작 디자인이라 댄스 뿐만 아니라 체조, 피겨, 케이팝 등 어디에도 쓰인다. 컨템포러리 댄스는 그 일종으로 현대무용을 말한다. 여기에서 세계무용축제에서 무용은 아마 그런 거일 거임. 그렇다면 안무페스티벌과 무용축제는 뭐가 다른걸까 하면 그런 건 잘 모르겠다. 

첫 번째 공연은 Anna Borràs Company의 Boreali. 안나 보라스라는 댄스 아티스트 겸 안무가의 일인 공연. 섬세함 보다는 아주 힘이 넘치는 느낌이 있었고 더불어 무대와 멀티미디어 활용 같은 게 재미있었다. 이런 류 공연은 몸으로만 승부하는 느낌이 있고 그러므로 2000년 전에 했어도 딱히 다를 게 없지 않을까 하는 기분이 있는데 영역 확장 방식의 단면을 본 거 같다. 

두 번째 공연은 Brandon Lagaert & 양승관의 Milles Moules. 안무는 양승관 혼자서. 이쪽은 상당히 연극 같은 느낌이 드는 공연. 이런 게 무용축제와 안무페스티벌의 차이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은 Ark Move Dance Project의 No W here. 석진환과 Paola Petrongolo 안무가가 함께 한 공연. 이 공연은 현대무용 같은 걸 보러 갔을 때 보게 되는 전형적인 느낌에 가깝다. 몸의 움직임과 합동 안무에 집중하게 되는 스타일인데 내용이 약간 지지고 복고 우리네 인생사 이런 분위기라 정확한 해설이 궁금해졌지만 뭘 찾을 수가 없다.

뭘 찾을 수가 없는 게 좀 문제인데 공연 관련한 정보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Boreali 정도가 안나 보라스가 꾸준히 하고 있는 공연이라 뭐가 좀 나오고 나머지는 잘 모르겠다. 나눠주는 팜플렛 같은 것도 없다. 

또한 친절의 결과겠지만 사전 안내에 문제가 좀 있었다. 처음에 휴식 없이 90분이라고 메시지가 오고, 그 다음 첫 번째 공연이 끝난 후 10분 휴식 시간이 생겨서 90분 + 10분 해서 총 100분이라고 메시지가 오고, 마지막으로 공연이 60분이어서 합쳐서 60분 + 10분 해서 70분이라고 메시지가 왔다. 뭐 그런가 보다 했는데 결론은 40분 + 10분 휴식 + 20분 + 20분 해서 90분 정도였다. 맞는 게 하나도 없었음...


3. 몇 년째 5주 간격으로 블루클럽에서 머리를 깎고 있었는데 이 루틴을 좀 벗어나 볼까 싶어져서 오늘 동네 미장원에 갔다. 그분 말씀이 내 머리의 형태와 자라는 방식이 5주 간격은 너무 짧다고 해서 7주 정도로 바꿔볼 예정이다. 


4. 2025년의 일이 몇 개 쌓이고 있다. 이번 주에 너무 정신을 다른 데 팔고 있었는데 다음 주는 일을 열심히 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