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3

부분, 불편, 기약

1. 울산에 다녀왔다. 비슷한 느낌의 포항, 거제는 살짝이라도 들른 적이 있는데 울산은 처음이었다. 아주 짧은 기간 있었지만 나름 인상적인 부분들이 있다. 

이번 울산 체험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울산역, 삼산동, 동구. 이 세 구역은 대중교통으로 1시간 정도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비연속적이다. 즉 울산역에서 삼산동으로 가는 동안 뭔가 도시가 끊긴 듯한 지역을 거친 다음 약간 다른 타입의 도심으로 들어선다. 동구에 갈 때도 마찬가지다. 추측건대 각자 발전하던 지역들이 모종의 이유로 합쳐진 게 아닐까 싶다.

일단 울산역은 처음에 지도에서 볼 때 아니 왜 여기에 KTX 역이? 싶은 곳에 있다. 머리 속의 울산이 아니라 울진에 있기 때문이다. 울산 주민들에게 불편한 게 아닌가 싶었지만 예상을 깨고 이용객 수가 꽤 많다고 한다. 그래도 울산 본진에서 가까운 태화강 역도 조만간 KTX가 들어선다고 하니 그러면 훨씬 편해질 거 같다. 태화강 역은 청량리 - 부전 열차의 고속철도화 연장선 상에 놓여있다. 아무튼 이 지역은 산넘어 산, 산, 산이다. 첩첩산중으로 가까이에 신불산과 가지산이 있다. 양산까지 이어지는 태백산맥 줄기의 끝부분 정도인 거 같은데 그래서 날씨도 변화무쌍하다. 전국이 다 더웠는데 울산역에 내렸을 때 폭우가 쏟아지고 있었다. 딱 봐도 소나기인 거 같았지만 너무 내렸는데 다행히 잘 피해서 우산을 구입하지 않고 위기를 넘겼다.

삼산동 구역은 번화가 인 거 같다. 백화점이 현대, 롯데 두 개나 있으면 평범한 지역이라 할 수 없다. 아무튼 이 부분에서 특이점은 도심 가운데 거대한 관람차. 뜬금없이 있어서 저건 뭔가 했다. 그에 이어지는 다른 특징은 여기는 평지다. 이 지역 울산 전체가 다 평지인 거 같다. 사거리를 건너다 보면 도로가 일자로 끝도 없이 보인다. 주변을 둘러봐도 산 같은 건 보이지 않음. 지평선 까지는 아니고 어느 정도 언덕 굴곡이 있긴 하지만 사방이 일자로 길게 뚫려있는 풍경이 보이는 게 상당히 낯설었다. 이 두 가지 특징이 결합하면 관람차를 타면 꽤 전망이 좋을 거 같긴 했다. 

그리고 동구. 삼산동에서 태화강을 지나 또 미지의 숲 지역을 지나다 보면 현대 자동차, 현대 중공업이 줄줄줄 나온다. 그리고 그에 연결된 거대 항구와 함께 동구가 나온다. 울산역와 비슷하게 여기는 왜 울산? 이런 생각이 들었지만 아마도 현대 공장과의 연결선상에서 그리 된 게 아닐까 싶다. 동구 자체는 구시가지 느낌이 있는데 지도를 보니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현대백화점도 있고 그렇다. 아무래도 울산이라 현대백화점이 더 쉽게 들어서는 건가 싶기는 하지만 그래도 백화점이 있는 지역이다. 여기서 좀 더 동쪽으로 가면 대왕암도 있고 해수욕장도 있고 그런 구역이지만 동구에서 다시 삼산동으로 돌아가야 했기 때문에 관광지는 전혀 보지 못했다.

뭔가 도시의 세 섹터가 매우 다른 느낌이다. 이외에 전반적인 인상으로 일단 거리 쓰레기통이 없다. 한 번도 못 본 거 같은데 찾아보니까 실제로 51개인가 있다고 한다. 어디 한데 모여있는 건가... 그리고 대중 교통이 상당히 와일드하게 달린다. 아무래도 좀 먼 거리를 가서 그런건가 싶다. 딱히 불친절까지는 모르겠지만 좀 무섭게 달림. 버스 정류장 안내는 좀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는데 다음 정류장 이름이 화면에 나오지 않을 때가 있고 + 버스 안내 목소리가 잘 안들린다. 

원래 지방도시에 가면 꼭 지역의 오래된 떡볶이집을 찾아 먹어보는데 이번에는 그럴 시간까진 없었다. 아쉽지만 언젠가 다음 기회를 기약해 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