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29

지역의 유래, 옛날 지도

몇 번 말했지만 지역의 유래... 지형의 예전 모습... 찾아보는 걸 좀 좋아한다. 여튼 중랑천에 있는 월릉교가 월계-태릉이라길래 찾아봤더니 월계-공릉이었다. 근데 공릉이 공덕리 + 태릉에서 나온 말로 결국 공릉의 릉이 태릉이니까 월릉의 릉도 태릉이다... 그러면서 네이버 사전 등등을 좀 찾아봤는데 고지도가 몇 개 나온 데가 있었다.



잘 안보이는데... 위 지도는 조선지형도라고 일제 시대에 조선총독부에서 만든 지도다. 도서관 찾아보니 출간본(1990년)이 있긴 한데 요새 참고도서 정리를 하고 있는 중이라 볼 수는 없었다.

가운데에 보면 상봉리가 보이고 그 위에 봉화산이 있다. 봉화산 오른쪽에 보면 내동이라는 곳이 보이고 신내리라는 이름도 보인다. 신내동이 1914년에 신현리와 내동리(+능내리, 직곡리 등등)가 합쳐져서 붙은 이름이니까 위 지도는 1914년 이후에 만들어진 게 아닐까 싶다. 그리고 오른쪽 맨 위에 양원리 그 아래에 망우리가 보인다.

가운데에 길게 나 있는 도로는 상봉동, 망우동을 거쳐 구리로 가는 길이다. 지금도 물론 있고 6번 국도. 6번 국도는 인천역에서 시작해 저기를 지나 강릉시 연곡 교차로까지 280km 정도 이어지는 동서 횡단 도로다. 참고로 종로도 6번 국도다. 그리고 저 노선은 안산에서 철원으로 가는 47번 국도와 겹친다. 47번은 6번 국도와 겹치다가 상봉 지나 신내 쪽에서 갈라져 북쪽으로 올라가는 데 위 지도에 보면 그런 길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다. 신내리라고 적혀 있는 곳 옆에 길을 따라 올라가면 뭐 철원까지 갈 수 있을 거다.

가운데 왼쪽 위아래로 중랑천이 보이고 그 왼쪽으로 철길 표시가 되어 있는데 경원본선이라고 적혀있다. 용산에서 원산으로 가는 기차길이다. 1910년에 착공해 1911년에 용산-의정부 노선이 완공되었으니 여튼 1911년 이후 지도라는 걸 또 알 수 있다.

성북역(지금은 광운대역)에서 오른쪽으로 나와서 화랑대역을 지나가는 경춘선이 1939년에 개통되었는데 있다면 저 지도 바로 위에 표시가 되어있을 거 같다. 찾아보니까 저 지도는 1918년 쯤 만들어진 걸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아마 없을거다.

지금 먹골역, 중화역이 있는 곳은 위 지도를 보면 다 논이었다.



이건 대동여지도. 가운데 속계라고 적혀 있는 데가 중랑천이다. 오른쪽으로 수락산과 검암산이 보인다. 사실 검암산은 지금은 구릉산이라고 부르는 조막만한 산으로 올라다는 데 30분도 걸리지 않는다. 지금 나 사는 곳 바로 뒤에 있는 산이라 산책 겸해서 몇 번 올라간 적이 있다. 그보다는 수락산과 검암산 사이에 있는 불암산이 훨씬 높고 등산으로는 더 인기가 많다. 그렇지만 동구릉이 있는 산이라 표시된 거 같다. 지금은 정상에 올라가 보면(완전 정상은 부대가 있어서 못 올라간다) 군부대 철책과 동구릉 철책 사이로 난 길을 지나갈 수 있다.

왼쪽에 있는 게 삼각산이면 왼쪽 아래 동그란 데가 사대문, 종로길이라는 이야기인데... 저 지도만 가지고 길을 찾아 가기는 아무래도 어려울 거 같다.



이건 해동지도. 이 지도는 글자가 잘 안보이는데... 왼쪽 아래에 보면 동십리라는 곳이 있다. 동쪽 십리, 지금 돌곶이 = 석관동 지역이다. 그렇다면 그 오른쪽에 보이는 게 중랑천이라는 이야기다. 맨 오른쪽에 커다란 산이 동구릉인 듯 한데... 잘 모르겠다.

여튼 이렇게 옛날 지도 구경은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따뜻, 앵앵, 증거

1. 시험 기간이 끝났나 보다. 도서관은 다시 조용해졌다. 4월 말의 햇빛도 무척 따뜻하다. 2. 운동을 좀 해야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문제가 무릎과 발이다. 조금만 무리하면 둘 다 아파. 이 둘이 아프면 유산소, 근력 모두 문제가 생긴다. 스트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