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29

제로, 안정, 전기

1. 굉장히 덥다. 꿈도 희망도 없고, 1년 내내 걱정하던 여름이 드디어 왔다. 계곡을 가볼까, 물에 있을 땐 좋겠지만 나오면 에너지 소모가 더 심하고 그래서 더 덥겠지, 결론은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 이러면서 고민을 좀 하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비어있던 날 일정이 생겼다. 실패. 


2. 그 어떤 종류의 신경씀도 물리적 더위를 만든다. 이건 강아지 웅이도 마찬가지다. 안정되어 있다가 놀자라든가 하는 말에 신경을 씀과 동시에 체온이 훅 올라가는 게 느껴진다. 나 역시 자려고 누워있을 때 절대적 안정을 취해야지 더워!라고 생각하는 순간 몸이 더 더워지는 게 느껴진다. 절대적 안정, 아무 생각도 하지 않음 많이 생존의 길이다.


3. 소가 낭비하는 지구 자원이 엄청 많은데 닭은 그에 비해 30% 정도라고 한다. 헬창들이 지구 온난화를 그나마 막고 있었던 건가. 아무튼 닭을 먹읍시다.


4. 요새 열심히 듣는 곡은 에스파의 도깨비불과 르세라핌의 블루 플레임. 훌륭한 곡이다. 이외에 청하 새 음반과 스테이씨를 듣는다. 일할 때는 습관적으로 보일러 룸 DJ 세트를 틀어놓고 자려고 누워있을 때는 솔로 캠핑 ASMR을 트는 경우가 많다.


5. 유튜브라는 건 악플러와 음모론자에게 정말 기적적인 전기다. 그저 어딘가 커뮤니티 구석에 댓글로 올라오던 시덥잖은 이야기를 과연 의견이라 취급할 수 있는가 고민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런 옛날 이야기는 어느새 뛰어 넘어버렸고 대단한 파급력과 영향력을 가짐과 동시에 수익의 창이 되었다. 비슷한 시덥잖음이 모이다보면 큐아논 같은 게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건 쉬이 예상할 수 있다. 수익은 영향력을 강화하고 강화된 영향력은 수익을 강화한다. 심지어 고용도 하고 있으니 산업이라 이름을 붙여도 손색이 없다. 게다가 원화의 약세는 기존 수익을 20, 30% 상승시켜 놨다. 이게 과연 어떤 영향을 보이게 될까.

패션 쪽으로 보자면 SNS나 커뮤니티 시절보다 트렌드의 집중력이 더 강화되고 있는 듯 하다. 남의 눈치를 더 보고 있는 거 같은 게 지금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