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23

평화, 균형, 유연

1. 화장실 형광등이 계속 나간다. 형광등 수명이 10000시간이라는 데 이유가 뭘까. 아무래도 안정기가 싸구려 혹은 불량이어서 그런 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는데 그거 고치느니 계속 바꾸는 게 낫나 싶기도 하고.


2. 세계의 평화를 위해 싸우러 가겠다는 걸 굳이 법으로 막을 이유가 있는지 모르겠다. 댓글 보면 외교적 문제 이런 이야기 많이 하던데 그런 걸로 문제가 생길 거면 그런 거 없어도 일어날 문제 아닐까. 물론 포로로 잡히거나 했을 때 구출하러 가야하거나 하면 문제겠지만 저런 참전의 경우 그럴 때 오피셜하게 과감하게 손을 놓아 버릴 수 있는 것도, 즉 개인의 자유와 책임 간에 적절한 균형 유지의 컨센서스가 이런 기회들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도 나라가 운영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 아닌가 싶다. 아무튼 할 수 있는 건 도움이 되어 줄 건 없지만 이왕 간다니 화이팅 정도가 괜찮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현역이 휴가 중 참전하러 간 사건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사실 현대의 특수 부대라는 게 수많은 장비와 기기의 서포트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맨 몸으로 가면 체력이 아주 좋은 보병하고 다를 게 뭐가 있으려나 싶기는 하다. 총을 쏘면 좀 잘 맞히겠지만 러시아 군이 항공과 탱크로 밀어오고 있는 판이라... 


우크라이나에서는 대전차 미사일이 대활약을 펼치고 있는 거 같던데 한 발에 1억 정도 한다고 한다. 아주 비싸지만 탱크가 2, 30억이니 꽤 이익이긴 하다.


3. 이근 대위는 문제가 좀 많고 게다가 관종이라 보고 있으면 짜증나긴 하는데 그의 현 한국군 문화(위계, 장비, 훈련의 후진성)에 대한 비판은 설득력이 있고 꽤 재미있게 봤었다. 다른 사람이 그 이야기를 하면 좋겠지만 그 정도 자리에 있던 사람이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잘 없어. 


4. 기초가 탄탄하고 그 탄탄함에 기반해 유연한 적응력을 가진 것들이 재미있다. 사실 패션도 그렇다. 그래서 딱히 기반도 이유도 없는 아트 컬렉션과, 하던 거 계속 하거나 인기 있는 거 같으니까 쫓아가는 컬렉션이 지루하다.


5. 사이트 가입했을 때 가입을 축하드립니다라고 나오고 가끔 메시지, 요새는 카톡이 오기도 하는데 이건 볼 때마다 이상하다. 왠 축하. 뭐가 축하. 가입에 감사드립니다라든가 가입을 확인합니다라고 하는 게 낫지 않을까. 누가 처음에 시작한 건데 별 생각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냥 굳어버린 걸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