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14

피로, 역할, 성분

1. 최근 매우 피곤하다. 일하는 데 쓸 에너지 말고는 아무 것도 없는 거 같다. 사실 자금난이 심각해지고 있기도 하고.


2. 몇 개의 옷을 버렸다. 팔긴 그렇지만 어디론가 가서 새 삶을 살게 될 거 같은 옷도 있다. 앞으로 한동안은 하루에 하나씩 버리게 될 거 같다. 정리를 좀 해야할 필요가 있다. 아무튼 나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지만 부디 새로운 곳에서 옷으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내길 바란다.


3. 매생이 굴국밥은 1년에 한 번 정도 강렬히 먹고 싶은 때가 있다. 이렇게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무엇인가를 먹고 싶다는 생각은 취향이라기 보다 몸이 그게 필요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러므로 그럴 땐 가능한 신속히 먹어주는 게 좋다. 이건 밥이 아니라 말하자면 부족한 필수 성분 같은 것.


4. 하지만 이건 신체적 결핍이 아니라 정신적 결핍이 원인일 수도 있다. 상당히 예전 일이지만 금연책을 읽은 적이 있는데(나름 이 분야의 고전인 알렌 카의 스톱 스모킹) 금연을 시작하면서 신경이 곤두서고 주변에 짜증을 전가하는 금단 현상이 종종 있는 데 대부분은 다시 흡연을 하려는 구실을 찾기 위한 방편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즉 주변에서 불편하니까 다시 담배를 피라고 부추키게 만드는, 말하자면 주변을 공격해 자신의 책임과 죄책감을 덜어내는 회피 방식이다. 물론 니코틴이 사라져서 생기는 금단 현상이긴 하지만 신체적이라기 보다는 정신적인 현상이다.

즉 부쩍 이것저것 먹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건 요새 몸무게 추이를 좀 진지하게 바라보고 있는데서 나오는 영향이 꽤 있을 거다. 

 

5. 넷플릭스에서 이카로스를 봤다. 다큐의 주제와 방향이 중간에 변해가기 시작하면서 실태 고발에서 시작한 스토리가 나중에는 거의 첩보 영화처럼 변한다. 그리고 다큐는 원래 주제를 버리고 주변 상황의 변화를 꽤 유연하게 따라간다. 이게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6. 매일 아침 9시 10분에 집에서 나와 9시 30분 열차를 타고 있다. 이 시간에 너무 집착하느라 더 큰 걸 놓치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근래 하고 있다. 목적은 어디까지나 생활 항상성의 유지와 일의 효과성을 높이는 건데 이런 걸 유지하는 데 쏟는 에너지가 지나치게 크다.


7. 사쿠라, 채원이 실로 오래간 만에 침묵에서 깨어나며 인스타그램을 가동했다. 2022년이 시작되는 기분이 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