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08

통증, 제도, 정보

1. 온 몸이 아프다. 이건 새로 먹기 시작한 유산균 탓일 수도 있고 혹은 스트레스, 낙담과 좌절, 번뇌, 불규칙한 식사, 불면의 밤 등등 때문일 수도 있다. 아무튼 모든 걸 리셋하는 데 시간이 좀 걸릴 거 같다. 아픈 곳은 입술에 큰 문제가 생겼고, 복통과 오한이 있고(몸살이 되려다 만 상황이다), 몇 년 전 다쳤던 발가락이 약간 심하게 아프고, 가슴 위 쪽에 근육통이 심하다. 


2. 청와대 청원은 없어져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그건 왕이 가지는 제도다. 음력 354일간 전국의 모든 자치구를 하나씩 검토해 본다는 조선 왕의 정치. 물론 수없이 많은 제도적 장치를 사람들이 잘 모르고, 알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일률적으로 호소를 할 수 있는 창구가 있다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제도적 장치를 찾아가는 것보다 청원 게시판이 더 확실하게 작동하고 있다면 그건 큰 문제다. 또한 여론화가 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하지만 여론화가 되지 않는다고 방치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가 있다면 그건 더욱 큰 문제다. 정부는 상업적 기구가 아니고 그렇기 때문에 멜론 100위 안에 들어야 사람들이 비로소 찾아듣는 식으로 운영되면 곤란하다. 1000위에 있어도, 10000위에 있어도 가치가 있다면 찾아내야 하는 게 정부의 일이다. 이건 인력의 문제가 아니라 태도와 방식의 문제다. 이는 또한 어떤 일을 한 공무원을 대우해 줄 것인가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3. 목소리로 하는 SNS라니 애초에 전혀 이해도 가지 않고 관심도 가지 않는다. 하지만 인기가 꽤 많다고 한다. 인기의 비결은 양질의 정보라고 한다. 그렇다면 궁금한 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은 누구고 그들은 무슨 이익을 얻는 걸까. 명성? 명성이 있으니까 정보 제공에 힘이 실리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이건 동어 반복이다. 잘 모르겠는데 140글자 읽는 것도 버거운 상황에서 가만히 듣고 있는 것만으로 뭔가 얻는 게 좋다는 의견도 들었다. 그러면 팟캐스트가 있지 않을까? 아무나 들어갈 수 없는 방에 들어가 있는 소속감 같은 걸까? 모르겠다...


4. 2021년의 시작이 매우 어렵다. 이런 힘듦의 끝은 과연 무엇일까.


5. 춥고 건조하고 바람부는 날 숲 속, 산 속을 살짝만 걸어들어가 멀리서 들리던 자동차 소리가 점점 들리지 않을 정도가 되면 꽤나 낯익은 냄새가 조금씩 나기 시작한다. 학교, 군대, 오래된 병원,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산 속의 컨테이너에서 나던 냄새. 집단 생활의 기억, 현대 문명과 자연의 경계 사이에 어설프게 놓여있는 장막 같은 것. 물론 문명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곳까지 가려면 아직 멀었고 심지어 여기엔 그런 게 있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아무튼 냄새는 확실하다. 이런 건 이 계절에나 가능하다. 여름에는 부패의 냄새가 너무 강하고 봄과 가을에는 생명의 기운이 지나치게 진동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