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17

잡담

러블리즈가 아직 마이너스라고 한다. 조만간 플러스가 되지 않을까 싶긴 한데 여튼 이 이야기는 걸 그룹 시장의 대략 사이즈를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

대략 1위를 해본 그룹들과 나머지 걸 그룹과의 경계선에 러블리즈가 위치하고 있다. 그래도 그룹 이름이라든가 멤버 몇은 나름 알려진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츄가 1위는 못했지만 롱런을 했기 때문에 그 노래도 상당히 알려져 있다. 방송도 꾸준히 나오고 등등.

하지만 메이저 그룹(그러니까 저예산 뮤비를 찍어놓고 뮤뱅 정도 나온 후 행사를 도는 게 목표라든가 인디 뮤지션이라든가를 제외한)이 메이저 그룹에 합당한 예산을 쓰고 음악 활동을 하면 지금 러블리즈 정도의 성적으로는 손익 분기를 넘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참고로 가온 기준으로 통산 1억 스트리밍을 넘는 걸 그룹이 여자친구, 트와이스 정도다. 알려진 기준에 의하면 1 스트리밍 당 6원이므로 6억 정도 수익이다. 이런 곡들은 유튜브 1억 뷰 정도 나오니까(안 나오는 것도 있다) 이 역시 알려진 바에 의하면 1억 정도 수익이다. 그러고 뭐 씨디 팔고 그 정도가 활동곡으로 낼 수 있는 수익 전체가 아닐까... 콘서트 하면 그것도 포함될테고.


결국 1위를 몇 번 씩 해서 몸값 자체를 올리거나 누군가 한 명이 치고 나가서 CF 스타가 되거나... 이런 게 아니면 활동곡이 어느 정도 알려지는 것만 가지고 흑자를 만들 수는 없다는 뜻인 거 같다.

며칠 전 살짝 찾아보니까 드레이크 같은 한창의 힙합인들의 경우 음원 발매 첫날인가 1억 5천 스트리밍 정도가 나온다. 뭐 사이즈는 역시 비교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킴 카다시안의 2015년 소득이 52.5M이던데 그런 분은 대체 뭘로 돈을 버는 걸까... 돈의 흐름이란 알 수 없군...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