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03

봄이 오고 있다

1. 이번 태연의 정규 앨범에서 선공개 되었던 i got love라는 곡은 무척 좋다. 아이돌 출신의 가수들이, 서현도 마찬가지였지만, 솔로 활동을 할 때 기존 콘셉트를 넘어서기 위해 쌓아 놓는 단계를, 이건 때로 그다지 몸에 베어 있는 듯 보이지 않는다는 어색함을 드러낸다, i got love는 곡이 시작되자마자 아주 가뿐히 넘어서고 저 멀리 가버린다. 이건 나이의 문제나 활동 기간의 문제가 아니다. 전 영역에서 완성도가 상당히 높다. 오랜 시절 보아왔던 가수가 지금 시점에서 낼 수 있는 최상의 결과물을 보는 거 같다. 그리고 당장 그만 둘 리는 없으니 이제 더 나아가겠지.

나머지 곡들은... 그분의 록 취향이 내 선호의 변화 속에서 좀 멀리 하게 된 것들과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에 그렇군... 정도라고 밖에 말할 수가 없다. 하지만 저 분야의 역사적 측면에서 봐도 지금이라면 조금 더 멀리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은 한다.

2. 뭔가 쓰고 나면 아무래도 리트윗 수나 조회수 등의 반응을 보게 되는데 최근 쓴 걸 보면 란제리 이야기는 생각보다 인기가 없었고 모델 이야기는 생각보다 인기가 많았다. 사실 내 머리 속의 생각과 기대는 그 반대였다. 둘 다 중요하지만 란제리 이야기가 더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3. 정작 자신도 개혁, 업그레이드, 이노베이션이 필요한 사람들이 손쉬운 타겟이나 붙잡아 손쉬운 방식으로 타박하는 모습이 굉장히 자주 보인다. 물론 이거야 뭐 나쁠 건 없을 테고 필요한 일이긴 하다. 하지만 이건 그저 자기 만족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자기 모순에서 명백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건 괜찮은 결과물로 나아갈 가능성도 없다. 목표가 무엇인지 보다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레벨 업, 레벨 업이라고? 어디로 가고 있는데, 뭘 향한 레벨 업을 하고 있는 건데? 그걸 대체 왜 하고 있는 건데? 더 나은 세상을 향해 가는 거라면 그 세상이 대체 어떤 모습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건데?

그리고 많은 이들이 비슷한 생각을 바탕으로 다른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과 뭔가 대립이 있을 때 이야기 전개를 전혀 되지 않고 있다. 당연하지만 어떤 발언과 주장은 좀 더 커다란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일이다. 설득은 불가능하고 불필요하겠지만 왜 다른 시야가 있는 지에 대한 고도의 성찰은 자신의 세계관을 더 정교하게 만들어 내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이 복잡한 단계는 많은 정신적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 단계의 지리함을 견딜 생각이 없으니 다시 손쉬운 자리로 돌아가 버린다.

포켓몬을 잡는 건 즐겁고 편하지만 세세한 장치를 이해하고 레벨 업을 하는 데는 지리한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귀찮고 지겨워져 관두고 떠나버리는 것과 비슷하다. 포켓몬은 지우면 그만이지만 삶은 그런 게 아니다. 내일 죽을 생각이더라도 하루 만큼 더 나아간 다음에 죽는 게 사람이 아닌가. 어디 갈 생각도 없이 길목에 죽치고 앉아 지나가는 사람 붙잡고 이러쿵 저러쿵 하고 있는 게 대체 무슨 소용인가.

4. 며칠 전에 내 자신의 걸 그룹을 보는 시선을 재정립할 시기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그중 하나로 예컨대 산업적 귀여움을 배격하고 있다. 그리고 몇 가지가 더 있는데... 이건 뭐 나중에 조금 더 자세히.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