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18

개헌 논의

요새 또 개헌에 대한 논의가 등장한다. 사실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의원 내각제 이런건 자기들한테는 가장 중요한 일일지 몰라도 시민들의 생활하고는 별로 관련이 없다. 제도야 뭘 택하든 권력이 편중되지 않게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시민들의 의견이 더 잘 반영될 수 있게 헌법이 고쳐지는게 중요한 일이다.

9차 개헌 헌법에 대해 소소한 불만이 많이 있었는데 이왕 바꿀 지도 모르니 생각하고 있는 나름의 마지노선에 대해 이야기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국민 소환제, 국민 발안제 도입

-행정부 수장의 국회 해산권 도입

-국회의 행정부 각료 및 수장 해임결의권 도입 / 입법-행정부간 균형

-군인, 군무원 이중 배상 금지 폐지

-공무원, 국영기업체, 공익사업체 노동권 법률 유보 폐지

-국가의 환경 보전 및 관리 의무 강화

-대법원장, 각급 지방법원장 직선제 도입

-검찰의 기소독점권 폐지

-헌법재판소장 직선제 도입

-대법관 수 헌법에 명시

-국가의 인권 보장 의무 도입

-독점 기업의 경제력 남용, 기업의 사회적 의무에 대한 국가의 규제, 조정 기능 강화

-'사형'을 명문으로 제시한 구절 삭제

빠진게 있나 모르겠는데 우선 생각나는 것들만. 이런 논의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듯 싶은데, 아무리 양보해도 이 중에 빠지는 내용이 있으면 찬성표 던지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