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01

뻣뻣, 복잡, 주의

 1. 처음 생각은 헬스장(사실 근력보다는 스트레칭이 중심이다) - 달리기 - 헬스장 - 달리기를 생각했지만 곧바로 무리라는 걸 알 수 있었고 2.5단계 이후 헬스장 문을 닫은 이후 좀 헤매다가, 다시 연 다음부터는 이틀 간격으로 돌아가면서 하고 있다. 이래선 이도 저도 안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있지만 목표가 뻣뻣한 몸 구석구석을 좀 풀고, 지구력을 기르는 거니까 일단 이렇게 가보자고 생각하고 있다.

2. 예전에 달리기 할 때는 정릉천이나 중랑천으로 바로 나가면 되니까 큰 문제가 없었지만 여기는 달리기 코스가 문제다. 그걸 6년이나 고민 했으니 나도 참 문제다 싶지만... 

아무튼 찾아낸 바로는 언제든 별 문제없이 뛸 수 있는 구간으로 500미터 정도 되는 직선과 200미터 정도 되는 언덕이 있다. 하지만 길이가 인터벌 훈련에나 쓸 만 할 거 같고 나는 그런 걸 할 수준이 아니다.

그걸 나가면 이제 길어지는데 500미터 코스를 끼고 한바퀴 돌면 1.4킬로미터 정도가 나온다. 즉 두 바퀴 돌아도 3킬로가 안되긴 함. 5킬로미터를 목표로 한다면 3번은 돌아야 한다. 그런데 이 루트는 500미터를 벗어나는 순간부터 약간 복잡해진다. 이후 900미터 속에 도로, 터널, 울퉁불퉁한 인도, 흙길, 지하도, 잔디, 시멘트 길, 약간의 언덕, 약간의 내리막이 자잘하게 등장한다. 쓸데없이 버라이어티함...

처음에 이 코스를 돌고 나니 발목이 아파왔고 그렇다면 다른 길을 찾아야 하나 아니면 트레일 화를 하나 사야하는 걸까 고민을 했었다.

저기를 안 가고 500미터를 벗어나 다른 길로 2킬로미터를 뛰어가면 천이 하나 나온다. 거기서부터는 자전거 길이 뚫려 있으므로 아주 좋고 뭐 이론상으로는 팔당댐, 행주산성, 아라빛섬 어디까지든 갈 수 있다. 자전거를 타면 보통 그 길로 나간다. 

하지만 달리기라면 2킬로미터를 가는 게 문제다. 일단 2킬로미터를 뛰어 갔으면 돌아와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자전거로 2킬로미터 가서 달리면 어떨까도 생각해 봤는데 자전거와 달리기는 함께 하기가 좀 그렇다. 1) 달리면서 왜 자전거를 두고 이렇게 느리고 힘들게 뛰고 있지라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된다 2) 돌아오는 게 힘들다.

결론은 잘 모르겠으므로 아디다스 코치를 들으며 500미터를 왔다갔다 하고 언덕 인터벌을 해보면 어떨까 싶어서 지금까지 2번 해봤다. 애매함...

3. 사실 지금 이게 문제가 아니라 할 일이 많다. 1과 2는 3을 위해 존재한다. 주의.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