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14

프메, 컨설턴트, 스트레칭

1. 아이즈원이 유료 메시지를 시작한다. AKB 계열에서 이미 하고 있는 건데 프라이빗 메시지라는 이름이 붙었다. 가격은 아직 안나옴.

사실 이런 시도를 한국에서도 아주 옛날에 한 적이 있는데 실패했다. 여기는 SM도 직캠을 허용하는 나라다. 큐브는 그걸 막았다가 큰 실패를 겪었다. 예컨대 AKB에는 만날 수 있는 아이돌이라는 캐치 프레이즈가 있었는데 한국에는 음방과 행사가 있고, 만나러 가는 사람이 많고 맘만 잡으면 보러 갈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비슷한 유료 서비스로 브이앱의 채플이 생각난다. 여기서도 여기에 돈을 내는 게 아티스트에게 도움이 된다를 앞에 내걸었다. 그리고 브이앱을 보면 우리가 딱히 돈 벌라고 하는 게 아니다...는 메시지가 여기저기 들어있다. 사실 그걸로 얼마나 버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예를 들어 브이앱 채플 한정으로 방송했던 에핑의 예능을 생각해 보면 PPL 제외할 때 제작비랑 비교가 될까 싶긴 하다. 즉 자립을 할 수 있는 상품은 애초에 아니다.

또 인터넷 예능 공개 -> 팬들이 짤을 만들어 영업하는 경우도 많다. 폐쇄적인 상품은 그래서 대부분 실패했는데 과연 이 서비스가 성공할 수 있을지, 성공한다면 왜 이번에는 성공하게 될지, 이게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이 궁금하긴 하다. 실패한다면야 이유는 기존과 같을테니까 딱히 알아볼 게 없을테고.

2. 장안의 화제 스캐를 보지는 않지만 들리는 이야기만 봐도 꽤 흥미진진하다. 재밌는 점은 이 판타지의 중심에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사실 같이 모여 사는 엘리트, 지나친 경쟁 의식 같은 건 생각하기 쉬운 패턴이다. 누군가는 그런 거 없이 진학했다고 말하겠지만 사실 중요한 건 그런 거 덕분에 진학한 사람들이다. ㅈㅎㅁ가 예전에 무슨 방송에서 자기는 과외 키드로 어머니의 치마 바람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식으로 말한 적이 있는데 바로 그 비슷한 것.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드라마 속의 컨설턴트가 아닐까 싶다. 목적을 달성시켜 주는 사람이 있다는 건 입시 문제가 과열된 상태로 수십년을 지속해 온 나라에 실로 환상 같은 존재다. 생각을 해보면 그런 게 있을 법도 한데 또한 그런 게 있을 리가 없다. 즉 많은 이들의 이상과 염원이 투여된 존재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데 있을법 함이라는 사실이 수많은 소문 속에서 환상을 더 뚜렷하게 만들고 그 속에서 큰 유혹이 된다. 사기꾼이 치고 들어갈 아주 적합한 타이밍이다.

3.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내가 할 수 있는 건가 의심하고 있다.

4. 정기적인 스트레칭을 강화하고 있다. 공기가 너무 좋지 않아서 걷기와 산책은 도저히 무리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