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1

체험, 행보, 속셈

1. 시청앞 잔디밭 같은 데 보면 책을 빌려 주고 잔디밭 벤치 같은 데 앉아 보라고 하는 곳이 있다. 책을 힐링이나 휴식으로 읽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사실 이런 문화가 잘 이해가 가지는 않는다. 책은 새로운 걸 알거나, 혼자선 못할 상상을 경험하거나, 글 자체를 즐기는 정도. 힐링으로 책 읽기는 에너지 소모가 너무 크지 않나. 책은 적절한 장소에서 집중해서 읽고 잔디밭 벤치는 복잡해진 머리를 식히는 용도로 쓰는 게 낫지 않나 싶다. 

뭐 외국은 휴가 시즌에 해변가에 누워 펄프 픽션 읽는 사람이 많다고 하니 책을 힐링 용도로 읽는 게 대세인가 싶기도 하고. 그것도 옛날 이야기고 요새는 그냥 영상 볼 거 같은데. 사실 영상도 피곤해. 쉴 때는 멍하니 있고 다른 체험은 집중해서 하는 게 시간을 잘 쓰는 방법이다.


2. 마당이 있는 집 1, 2회를 봤다. 김태희, 임지연. 원작이 있는데 도서관에서 휘리릭 훑어봤음. 전개가 어떻게 될 지 모르는 서스펜스 같은 거 정신적으로 피곤하고 다 알아놓고 어떻게 풀어가는 지 보는 게 더 재미있다. 아무튼 분위기가 상당히 좋음. 임지연은 더 글로리에 이어 행보가 아주 좋다. 원작과 거의 같게 전개되고 있는 듯 한데 원작은 배경이 4월이고 드라마는 9월이다. 분명 뭔가 다를 거 같은데. 8부작이라 확확 나갈 거 같다.


3. 한국의 여름 더위는 사람을 쪄죽이는 타입인데 3일 전에는 35도에 습도 50%로 햇빛으로 태워 죽일 거 같은 타입의 더위가 찾아왔다. 바로 다음날 온통 흐리더니 최고 기온이 25도였고 어제 밤부터 계속 비가 내리고 있다. 내린 비 때문인지 꽤 습한 편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쪄죽이는 것도 아니고 태워죽이는 것도 아니고 적응 못하고 진빠져 죽게 만들려는 속셈인 듯.


4. 대학은 이제 방학인가 보다. 도서관은 조용하고 열심히 일을 할 수 있는 시기. 


5. 광릉왕모기라는 게 있다. 광릉에서 처음 발견되어 광릉왕모기라는 이름이 붙었고 국내 토종이다. 얘네는 일반 모기에 비해 덩치가 큰데 국내 모기 중 가장 크다고 한다. 아무튼 얘네는 유충 시절에는 다른 모기 유충을 잡아먹고 크고 나서는 암수 모두 꽃이나 수액을 섭취하면서 산다. 유충일 때 육식을 하며 영양분을 섭취해 놓기 때문에 단백질이 필요없어서 피를 빨아먹지 않아도 된다고. 그래서 해충이 아니다. 광릉왕모기 화이팅, 먹을 건 잔뜩 있으니까 모기 다 잡아먹어라. 


6. 오징어 게임 캐스팅 발표가 있었는데 순 남자만 나와서 전세계가 약간 혼란에 빠졌다. 뭐 이후 더 있다고 수습을 했다. 단편적인 일이지만 오징어 게임 측의 센스 같은 게 드러나긴 한다. 아무래도 1차 캐스팅이 가장 주목받는 일일텐데 사람들이 어떤 부분을 유심하게 보는 지, 민감한지에 대해 감각이 좋지 않다. 1편은 정호연을 배출한 거 말고 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게 여전한 생각이지만 2에서 궁금한 건 과연 1이 왜 이토록 세계적인 히트를 쳤는지 알고 있는지 여부. 그걸 알고 있다면 그걸 잘 살릴테니까 알아볼 수 있겠지. 모르고 있다면 1과 차이를 통해 그게 과연 무엇인지 살짝이라도 드러나지 않을까. 궁금해서 나오면 찾아볼 거 같긴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