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11

방역, 비교, 대안

1. 방역은 나라가 할 일이다. 그러므로 정치와 외교의 영역이 된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그런 걸 가리지 않는다. 그런 문제를 대비하기 위해 WHO가 있지만 어디 땅에서 돈과 권한이 생겨 자립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과 방향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다 보니 좀 웃기는 게 예컨대 한국의 방역은 지금까지 꽤 성공적이었다. 미국과 유럽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을 높게 친다. 미국 안에서 민주당은 공화당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을 높게 친다. 중국은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을 높게 친다. 혹시 중국이 잘 해냈다고 해도(많은 부분 의심스럽지만) 그것은 일당 독재에 의한 강력한 통제 덕분이므로 저렇게 해야 한다고 말 하기가 어렵다. 이전에는 대만이나 싱가포르가 그랬다. 스웨덴이 성공했다면 그쪽이 더 나은 대안이 될 텐데 그렇지가 못하다. 뭐 이런 식으로 계속 간다.

2. 코로나, 전염병 문제는 꽤 골치 아픈 일이다.

예를 들어 내가 월세를 내는 자영업자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면 코로나가 퍼질 가능성이 있다. 그렇잖아도 많이 안 오는데 혹시나 모를 위험을 막기 위해 자진 휴업을 했다. 그럼에도 월세를 내야 한다. 만약 그러다 망하면(많은 이들이 월세 부담을 덜기 위해 폐업을 하게 될 거다) 코로나를 막는 데 기여했다고 누가 뭐라도 줄까. 그렇지 않을 거다. 그렇다고 문을 열었다가 혹시나 코로나 허브가 되면 문제가 아주 심각하게 돌아갈 뿐이다.

결국 이 문제는 누가 잘했다, 누가 못했다 라고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이럴 때 클럽 같은 데 가냐 하는 건 물론 문제일 거다. 몇 달 참으면 되지 그게 뭐 그리 큰 일일까. 그렇지만 모두들 말을 잘 들어서 아무도 클럽에 안 가는 상황이 오고, 그래서 망하게 되면 딱히 누가 위로해 줄 일도 아니다. 그래서 클럽이 없는 나라가 되는 게 맞는 걸까. 이래도 망하고 저래도 망한다면 보통은 생존의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쪽을 택하기 마련이다.

건물주들이 어떻게 해줬으면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쪽도 괜찮은 형편인 사람들이 다수이긴 하겠지만 다들 몇 달 안 받아도 괜찮다고 할 수 있는 건 아닐 거다. 그렇다면 가게 계약을 할 때 건물주의 유동 자산 사정이 얼마나 넉넉한 지 체크를 했어야 하는 걸까.

이런 식으로 가면 이 빈 시간을 버틸 수 있는 곳만이 살아남는다. 대기업 직영점들이나 건물주가 다른 여유 자금도 많은 데 직접 매장을 운영하고 있거나 하면 그나마 여유가 있을 거다.

그렇다면 코로나 시대가 끝나고 나면 자영업 쪽도 대대적인 재편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마치 거름망을 통과 시키듯 이 고통의 시간을 견딜 수 있는 여건이 되지 못하는 사람들을 시장에서 내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주요국에서도 코로나로 결국 폐업을 결정한 유명한 매장의 소식이 들린다.

결국 여기도 몸집이 있는 기업들의 판이 되는 식으로 정리되려나. 만약 그걸 막고자 한다면 유럽쪽 뉴스에서 보이는 70% 소득 보존 같은 거 밖에 그나마 방법이 없는 거 같은데 그것도 마냥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게 6개월, 1년이 된다면 대체 방법이 뭐가 있을까.

지금의 이런 국가 단위, 세계 단위의 바이러스 방역은 시민의 재산 희생에 기대고 있다. 방역을 위해 축소된 재산권 상황에서 도태하게 되는 가난한 이들은 바이러스가 아니라 돈 때문에 세상을 떠나게 된다. 코로나 사망자와 이런 식의 사망자 수는 비교를 해 가며 더 나은 결론을 찾는다니 하는 건 과연 할 수 있는 영역이긴 한 건가. 그렇다고 가만히 두면 더 퍼지면서 더 많은 사망자를 만들어 낼 거다. 어느 방향도 누군가 희생당한다는 건 피할 수가 없다.

생각해 볼 수록 너무나 어려운 문제 같다.

3. 하나의 국가 지향 어쩌구 하다가 바이러스가 퍼지자 곧바로 스페인과 이태리의 국경을 닫아버린 유럽의 다른 나라들을 생각해 본다. 과연 EU는 코로나 이후 지속될 수 있을까. 영국의 선택은 옳은 거였나. 그렇다고 영국은 혼자 잘 해나갔나.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