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603

영화 그리고

1. 한때 영화를 정말 열심히 본 적이 있다. 뭐 나름 장기간이었고 그런 시절이 있었다. 그러다가 어느날 뚝 그쳤는데 그친지가 벌써 꽤 오래되었기 때문에 이제와서 영화를 좋아했었지.. 따위 말을 하기도 민망한 시점이 되었다. 뭐랄까 한편을 보기까지 결심하기가 굉장히 부담스러운데 마치 자전거를 타고 여의도에 다녀오자 정도(왕복 60km)의 마음을 먹기까지와 비슷한 수준인 듯 하다. 물론 종종 매우 중요해 보이는 것들은 챙겨 보긴 하는데(사실 그런 것들조차 예전 기억과 연동되는 중요함이다) 여하튼 영화와 관련해서는 업데이트가 어렵다. 이 분야를 대할 때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호기심이 사라진 거 같다.

2. 이에 대한 반작용 비슷한 걸 수도 있는데 영화가 줄어든 반면 예능은 너무나 많이 본다. 아무리 생각해도 좀 심각할 정도인데(하지만 2000~2005년 쯤과 비교하면 또 매우 줄어든 수치다) 지금 이게 머리 속 OS에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3. 또한 음악도 마찬가지다. 지나친 예능과 케이팝이 머리 속을 평평하게 만들고 있다. 그나마 도서관에 매일 얼쩡거리니 책을 좀 보는게 그나마 현상 유지를 시켜주는 거 같다.

4. 여튼 문제다.

5. 직접 경험의 우위를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 직접 경험이라는 건 너무나 강렬해 굉장히 많은 오해를 만들고, 그 속에서 사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만큼 냉정하게 이성을 유지하는 자는 거의 없다. 막상 가보니 예상할 수 없었던 사태를 목격하는 건 예상의 냉철함과 DB의 확보에 문제가 있었다는 반증일 뿐이다. 하지만 DB의 측면에서 생각해 보자면 사고에 필요한 자료가 무엇인지 간접적으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뭘 하든 한번은 직접 보긴 봐야 한다.

밤에 자전거를 타면 배가 매우 차가워진다. 이 매우의 수준이 생각보다 높아서 샤워를 하려다 보면 꽤 놀라는데 맨바닥에서 이걸 방에 앉아 예상하려면 - 예컨대 자전거를 타고 돌아온 자를 묘사하는 작업을 할 때 - 뭐가 필요했을까.

6. 현재 매우 심각하게 짜증이 나 있는 상태다. 짜증이라기 보다 화다. 앵그리 버드의 눈썹을 하고 있는데 이걸 해결하려면 지금 하려는 작업을 더 잘 해야 하는데 화가 나서 작업이 진척이 안된고 분노 조절도 잘 안된다. 탄산수를 마시면서 쉬지 않고 릴랙스, 릴랙스를 외치고 있다. 여하튼 소위 악순환에 빠져 있는데 이런 거 대처를 좀 잘 해야 될텐데.

7. 재잘재잘재잘은 날 구원해 주지 못한다. 트윌라이트 익스프레스를 타러 갈까. 혼자 가면 이시카리 만에 빠져 죽지나 않을지. 지도를 찾아보니 삿포로 시 주변에 산이 많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피곤, 시합, 용어

1. 어제는 덥긴 했지만 전국 곳곳에 폭우가 내린 탓인지 선선한 바람도 불고 공기도 맑고 그랬다. 오후 4시 정도까지는 평화로운 날이었는데 그때부터 뭔가 꼬이기 시작했다. 아무튼 버스를 3회 정도 타게 되었는데 매번 10분씩 기다렸고 선선한 바람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