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27

기술, 식단, 땅꾼

 1. bhc의 뿌링클과 치즈볼을 먹어봤다. 예전에 모 대형 피자 체인을 갔다가 이것은 음식을 넘어 기술의 승리... 뭐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 퍽퍽함, 느끼함 같은 걸 느낄 틈도 없고, 불필요하게 배가 부르거나 너무 얇아서 금방 사라지지도 않을 정확한 두께, 빼곡하고 다양하게 돌아가면서 메인으로 오르는 소스의 맛, 올려져 있는 다양한 토핑 등등은 이 치열한 경쟁터에서 얼마나 연구를 많이 한 결과인지 일종의 경외감 같은 걸 느끼게 했었다. 간만에 먹어본 브랜드 치킨 역시 그와 비슷하다. 모든 게 정확하고 완벽하다. 이럴 때도 있고 저럴 때도 있지 하는 음식이라는 장르 특유의 성질이 완전히 제거되어 있다. 심지어 식어도 맛있다.


2. 그건 그렇고 최근의 식사 라인이 목살 - 삼계탕 - 돼지 갈비 - 꽃등심 - 치킨 이렇다. 뭔가 좀 이상하군.


3. 간만에 뒷산을 올라갔다. 일주일에 한 번 오를 예정인데 말하자면 오늘이 첫 날이다. 여유롭게 잡아도 1시간이면 다녀 올 거리인데 역시 발을 떼는 게 제일 어렵다. 오래간 만에 올라가 봤더니 알던 길은 막혀 있고 새 길도 나있고 그렇다. 다만 눅눅하고 습하고 벌레가 정말 많았다. 과연 이걸 지속하기 위해서는 무슨 옷과 장비가 필요한가를 테스트해 봤는데 몇 번 더 해봐야 더 잘 파악이 될 거 같다.


4. 일교차가 굉장하다.


5. 예전에 집 근처에서 뱀을 봐서 인스타에 올린 적이 있는데 종종 나오나 보다. 근처가 다 산이니까 없을 리가 없다. 아무튼 발견하면 관리실에 알려달라고 한다. 근데 알려주면 어떻게 하려나. 땅꾼을 부르나? 직접 잡나? 

20200915

퍼즐, 설명, 해설

1. 영화든 뭐든 퍼즐이 나오면 풀고 싶은 욕구가 드는 게 있고 그렇지 않은 게 있다. 그걸 가르는 이유가 뭘까 생각해 본 적이 있는데 잘은 모르겠다. 이게 오타쿠 영역의 문제는 아닌 거 같다. 그걸 이해하면서 보면 더 재밌냐, 즉 더 넓고 멀리 보이는 뭔가가 있는가 하는 쪽이 약간 더 있는 거 같다. 하지만 더 재밌냐가 사람마다 꽤나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하긴 어렵다.

약간 다른 건 아이돌이 컴백을 할 때 티저를 내는 데 요새 이런 퍼즐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이게 너무 짧고 엄격하게 구획된 세상도 아니고 그걸 가지고 노는 게 팬덤의 즐거움 중에 하나기 때문에 이쪽은 약간 경우가 다르다.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건 아니니까. 

아무튼 영화를 생각해 보면 쏘우 류는 풀고자 할 의지를 아예 없애 놓은 프랜차이즈다. 어차피 끝에 가서 줄줄줄 다 설명해 주니까. 뭐래는 지 몰라도 상관없는 게 어차피 난 이런 대단한 걸 했지, 넌 몰랐지가 그 내용이다. 

이 이야기는 가끔 하는데 오래간 만에 다시 꺼내는 이유는 테넷을 봤기 때문이다. 정말 뭐랄까... 이토록 전혀 아무 것도 궁금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했다. 


2. 요새 기상청의 날씨 해설을 열심히 본다. 동아시아 전반을 큰 시각으로 보는 게 꽤 재미있다. 내일 날씨 같은 경우 오늘 밤, 내일 새벽에 소나기가 좀 내릴 예정인데 그 이유는 오늘 아침에 쌀쌀하다가 낮에 더웠기 때문. 내일은 전국에 비가 내리는 데 중부 북쪽으로는 몽골 쪽에서 오는 건조하고 찬 공기가 만든 비구름, 남부 지방과 제주도는 필리핀에서 일본에 걸쳐있는 습한 비구름이 원인이다. 즉 원인이 모두 다 다르다! 이 조그만 나라는 왜 이렇게 복잡한 거냐!


아무튼 결론적으로 보면 올해 여름 날씨는 유난히 차고 건조했던 몽골 혹은 시베리아에서 만들어진 공기가 밀고 내려오는 것과 유난히 덥고 습했던 남쪽 바다에서 만들어진 공기가 밀고 올라오는 것 사이에 껴서 양쪽이 서로 밀어대는 바람에 구름이 어디 가지도 못하고 비만 줄창 쏟아 냈다 정도가 아닌가 싶다. 매번 이 이야기만 듣고 있다. 

20200907

지원, 요구, 결과

 1. 예컨대 거대한 재난이 왔고 나라의 재정 지원이 필요할 때 선별해서 꼭 필요한 사람에게 주는 게 맞냐, 일단 전부 다 주는 게 맞냐를 생각해 보면 물론 꼭 필요한 사람을 주는 게 맞을 거다. 하지만 그게 가능한 일인가 라고 하면 이야기가 전혀 달라진다. 얼마나 자세히 들여다 볼 건가, 자세히 들여다 볼 수는 있는가는 아예 생각도 안 할 게 확실한데(게다가 시간이 중요하다고) 맞는 방향이라고 해서 불가능을 추구하는 게 답이 될 수는 없다. 


2. 결국 선별은 불가능할테고 뭔가 증명을 위한 요식 절차가 될 막중한 서류 정리의 절차는 저번 프리랜서 지원금처럼 어딘가 공조직의 직원이 될 가능성이 높다. 곧 막중한 과업에 시달리게 되겠지. 가만히 보면 위기 상황에서의 사회 유지를 위해 커피집, 노래방 같은 걸 운영하는 자영업자, 병원이나 공공기관 종사자의 희생을 너무 크게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조직이 될 수 없거나 조직이 되어도 힘을 발휘할 수가 없지. 


3. 돼지고기와 에어프라이어는 뭔가 안 맞는 거 같다. 어떻게 해도 결과물이 탐탁치 않다. 자료 조사와 시간과 공을 더 들이면 뭔가 더 나아질 지도 모르겠지만 투입 대비 효용의 불균형이 명확하다. 너겟도 전자렌지에 2분 데우는 것과 에어프라이어에 10분 데우는 것 사이의 차이가 8분을 소모하고 설거지 거리를 늘릴 만큼 소용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핫윙도 마찬가지. 결과물이 아주 괜찮았던 건 냉동 피자 정도였다.


4. 태풍이 연속으로 지나가고 있다. 3개 지나갔으니 이젠 슬슬 여름의 끝과 함께 그만 오겠지 싶은데 요즘 날씨의 진행 상황을 보면 또 모를 일이다. 3년 간 매우 무더움, 별로 안 더움, 비가 계속 옴이라는 세 가지 다른 패턴의 여름이 지나갔다. 이제 뭐가 있지. 내일 갑자기 눈이 내려도 그렇게까지 놀라진 않을 거 같다.


5. 민주주의, 특히 대의 민주주의라는 제도는 이성이 살아있음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지금 같은 경우, 예컨대 과학적 사고를 믿지 않고, 그냥 자기 주장만 줄창 하는 빌런이 등장해 그걸로 이익을 얻고 동시에 바이러스가 번지는 등 사회에 간접적 해약을 미치는 경우 과연 어떤 해결 절차를 가지고 있을까. 그리고 사회적 합의로 해결 절차가 만들어진다면 결국 이익을 보는 건 누구고 손해를 보는 건 누가 될까. 인류는 흑사병 시대, 스페인 독감 시대에 뭘 배웠고 코로나 시대에 뭘 배우게 될까.

20200901

변화와 적응

생활 방식이 코로나에 맞게 세팅된 지도 벌써 5개월이 지났다. 3월부터 시작했으니 9월이 되면 6개월 차다. 항상 느끼는 문제 중 하나가 변화를 빠르게 인식함에 비해 루틴을 만들고 적응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거다. 그 사이의 비효율이 작업에 꽤 오랫동안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나마 버틸 수 있었던 건 1, 2주일에 한 번씩 있는 외부의 회의였던 거 같다. 아무튼 이제야 대충 더위, 집이라는 비효율적인 환경 속에서 작업하는 방식이 정립되고 몸에도 좀 익는 거 같다. 너무 오래간 만에 생활 방식이 변한 이유도 있다. 이런 과도기를 잘 넘기는 방법을 익혀야 할 텐데.

걸음, 필요, 소통

1. 검찰이 경호차장에 대해 영장 청구도 하지 않고 돌려 보냈다. 아마도 공수처 견제를 위해서 그런 거 같은데 정말 상황 파악 못하는 단체다. 이 일은 앞으로 특검 출범과 기소청 - 국수본 체제로의 개편을 위한 큰 걸음의 시작이자 이유가 되지 않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