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23

언제나 고민

생각하고 있는 걸 어떤 식으로 실현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어려운 복잡한 문제다. 예컨대 무슨 생각을 하느냐도 문제고, 그걸 실현하는 방식이 무엇이냐도 문제고, 그걸 보는 다른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느냐 하는 것도 문제다. 이 각각은 또한 그 안에서 복잡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트위터에 쓰는 짧은 이야기든 책 정도 되는 긴 이야기든 마찬가지다. 물론 짧거나 길다 자체가 미치는 영향도 있다. 어떤 책에 들어갈 원고를 쓰면서 내가 지금 왜 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건가라는 생각을 꽤 많이 했다. 물론 그 이야기가 들어가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에 쓰기 시작한 거지만 전혀 다른 이야기가 들어갈 수도 있을 거고 그러면 전체의 양상은 매우 달라졌을 거다.

잡지 같은 경우도 어떤 목표를 향해야 하고 그걸 위해 어떤 이야기를 모아야 하는 건가, 누가 있지, 그게 가능한 건가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책의 경우에도 결국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무엇이고 그걸 위해 뭐가 필요한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런 부분에 대해 최근 많은 고민이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손목, 구멍, 주기

1. 어제 수영 강습을 받고 나서 오른쪽 손목과 왼쪽 무릎이 아프다. 오른쪽 손목은 좀 많이 아픔. 수영을 하면서 아플 정도로 손목과 무릎을 쓸 일이 있나? 손목을 썼던 일이 있긴 했나? 어깨나 허리, 엉덩이나 햄스트링이면 이해나 가지 대체 모르겠다....